안녕하세요.

김영오 교수입니다.

저는 서울대학교 건설환경도시공학부에서 수문·수자원 시스템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하고, 이를 반영한 댐 운영 및 물관리 의사결정의 최적화·적응 전략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저를 만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저의 디지털 쌍둥이를 통해서 만나는 것입니다. A Con 앱으로 가보시면, 대화창이 나옵니다. 그곳에서 문자나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실제 사람으로서 저를 만나는 것입니다. 이 역시 A Con 앱으로 가시면 화상 대화 메뉴가 나옵니다. 화면을 보면서 저와 대화할 수 있습니다.

디니털 쌍둥이가 뭐냐고요?

실제 사람 전문가를 디지털로 그대로 복제한 것을  말합니다.

그 사람의 신원 정보, 개인적인 취향이나 성격, 전문 지식 등을 깊이있게 학습한 인공지능(AI)이 그 사람을 닮은 모습과 지식으로 당신과 대화를 하는 것입니다.

 

저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부 교수로서, 기후변화와 수문순환의 불확실성 속에서 더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물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학부 시절 서울대학교에서 토목공학을 공부했고, 이후 미국 신시내티대학교에서 석사, 워싱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면서 수문학과 통계적 모델링을 결합한 연구의 기반을 다졌습니다.

연구자로서의 여정은 미국 NASA 산하의 Global Hydrology and Climate Center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기후변화가 전 지구적 수문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면서, 복잡한 자연 시스템을 정량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에 대한 확신을 얻었습니다. 이후 서울대학교로 돌아와 교수로 재직하며, 통합수문모델링, 확률론적 예측, 기후 리스크 평가, 그리고 댐 및 하천 운영의 최적화 연구를 꾸준히 이어오고 있습니다.

저의 주요 연구 주제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불확실성을 분석하고, 이를 관리 및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것입니다. 특히 확률적·로버스트 최적화, 베이지안 추정, 그리고 시계열 예측 모델을 활용하여 홍수와 가뭄에 대응할 수 있는 수자원 시스템을 개발해 왔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반 수문예측, 앙상블 유량모델, 그리고 도시 물순환 관리에 관한 연구로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국가 물관리 정책과 연결되어, 환경부·한국수자원공사 등과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해왔습니다.

궁금하신 것, 알려주고 싶은 것, 무엇이든 좋으니 저와 대화해 주세요~

연구실 홈페이지: https://ccawr.snu.ac.kr/  

  • Ph.D. in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versity of Washington, USA — August 1996

  • M.S. in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Cincinnati, USA — June 1991

  • B.S. in Civi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 February 1989

  • 2024.06 ~ 현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학장

  • 2021.08 ~ 2023.02, 서울대학교, 학생처장

  • 2020.02 ~ 2021.08, 서울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학부장

  • 2012.07 ~ 2014.07,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학생부학장

  • 2002.04 ~ 현재, 서울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조교수·부교수·정교수

  • 1999.03 ~ 2002.03, 서울대학교 토목·도시·지구시스템공학부, 선임강사

학외 활동

  • 2015.01 ~ 2015.12, 독일 슈투트가르트대학교, 방문교수

  • 1997.07 ~ 1999.02, 미국 NASA 글로벌수문기후센터, 연구원

  • 1996.09 ~ 1997.06, 미국 워싱턴대학교, 방문연구원

  • 2024.06 ~ 2025.02, 환경부,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25 작성위원

  • 2023.04 ~ 2026.12, 환경부, ‘수자원 시설 연계운영 기반의 물 부족 규모별 비상대응 체계 구축’ 연구책임자

  • 2020.12 ~ 2023.12, 한국연구재단, ‘기후변화와 인위적 요인을 고려한 메콩델타 유량·염분침투 예측모델 개발’ 공동연구책임자

  • 2020.06 ~ 2022.03, 한국수자원공사, ‘유역별 가뭄대응력 평가 및 댐·보 운영 개선방안’ 연구책임자

  • 2014.05 ~ 2020.12, 환경부,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통합평가 모형 요소 기술 개발’ 총괄책임자

  • 2014.09 ~ 2019.12, 환경부,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의사결정 및 사회구현 기술개발’ 연구책임자

  • 2009.12 ~ 2012.12, 국토해양부, ‘기후변화에 의한 수문 영향분석과 전망’ 연구책임자

  • 2012.03 ~ 2014.11, 국립환경과학원,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제2차 발간’ 연구위원

  • 2008.10 ~ 2010.09, 소방방재청, ‘국가 가뭄재해 정보시스템 시범 개발’ 연구책임자

 

학회 활동

  • 한국수자원학회, 정회원

  • 대한토목학회, 정회원

  • 한국기후변화학회, 정회원

  • 환경부·국토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 등, 정부 및 공공기관 자문위원

  • Journal of Hydrology, Water Resources Management, Hydrology Research 등, 국제학술지 논문 심사위원

학부강의

  • Hydrology

  • Statistics for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s

  • Leadership for Civil Engineers

  • Climate Change Adaptation for Civil & Environmental Planning

대학원 강의

  • Statistical Hydrology

  • Advanced Hydrology

  • Disaster & Risk Management

  • Physical Hydrology

  • Water Resources Systems Engineering

 

  • J. H. Lee, G. J. Kim, Y.-O. Kim, Improving the probabilistic drought prediction with soil moisture information under the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framework,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2024.

  • J. H. Lee, K. J. Kim, Y.-O. Kim, 현행 법정홍수기 타당성 검토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용담댐 사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2024.

  • Y. J. Kim, K. J. Kim, Y.-O. Kim, 용수공급을 위한 댐 방류량 결정에서의 앙상블 유량 예측 효과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2023.

  • S. A. Khatatbeh, Y.-O. Kim, Accuracy assessment and error decomposition of internet of things sensor: Low-flow conditions in Dorimcheon stream, Journal of Radiation Research and Applied Sciences, 2023.

  • G. J. Kim, Y.-O. Kim, S. B. Seo, Adaptive reservoir management by reforming the zone-based hedging rules against multi-year droughts, Water Resources Management, 2022.

  • J. H. Kim, Y.-O. Kim, J. H. Lee, 누가차분법을 통한 가뭄 빈도유입량 산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2022.

  • G. J. Kim, Y.-O. Kim, How does the coupling of real-world policies with optimization models expand the practicality of solutions in reservoir operation problems?, Water Resources Management, 2021.

  • G. J. Kim, Y.-O. Kim, P. M. Reed, Improving the robustness of reservoir operations with stochastic dynamic programming,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2021.

  • D. H. Kim, Y.-O. Kim, H. W. Ji, T. H. Kang, 전국 단위 홍수위험도 평가를 위한 지수 개발과 미래 전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2020.

  • G. Tegegne, Y.-O. Kim, Representing inflow uncertainty for the development of monthly reservoir operations using genetic algorithms, Journal of Hydrology, 2020.

  • T. Shim, Z. Kim, D. Seo, Y.-O. Kim, S.-J. Hwang, J. Jung, Integrating hydraulic and physiologic factors to develop an ecological habitat suitability model,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2020.

  • G. Tegegne, Y.-O. Kim, Strategies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flow quantile prediction in the gauged and ungauged basins,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2020.

  • Y. S. Yoon, Y.-O. Kim, J. W. Yoon, 기후변화 완화 수단으로서 발전원의 유용성 인식 분석,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19.

  • G. Tegegne, Y.-O. Kim, J.-K. Lee, Spatiotemporal reliability ensemble averaging of multi-model simulation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019.

  • G. J. Kim, S. B. Seo, Y.-O. Kim, 협의체 기반 가뭄 대응 대안 도출과 비전공유모형의 역할,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2019.

  • S. B. Seo, Y.-O. Kim, S.-U. Kang, Time-varying discrete hedging rules for drought contingency plan considering long-range dependency in streamflow, Water Resources Management, 2019.

  • Y. Kim, I. Ohn, J.-K. Lee, Y.-O. Kim, Generalizing uncertainty decomposition theory in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s, Journal of Hydrology X, 2019.

  • S. H. Ihm, S. B. Seo, Y.-O. Kim, Valuation of water resources infrastructure planning from climate change adaptation perspective using real option analysi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019.

  • K. H. Ahn, Y.-O. Kim, Incorporating climate model similarities and hydrologic error models to quantify climate change impacts on future riverine flood risk, Journal of Hydrology, 2019.

  • S. B. Seo, Y.-O. Kim, S.-U. Kang, G. I. Chun, Improvement in long-range streamflow forecasting accuracy using the Bayes’ theorem, Hydrology Research, 2019.

  • G. Tegegne, Y.-O. Kim, S. B. Seo, Y. Kim, Hydrological modelling uncertainty analysis for different flow quantiles: a case study in two hydro-geographically different watersheds,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2019.

  • S. B. Seo, Y.-O. Kim, Y. Kim, H.-I. Eum, Selecting climate change scenarios for regional hydrologic impact studies based on climate extreme indices, Climate Dynamics, 2019.

  • K. Park, K. S. Lee, Y.-O. Kim, Use of instream structure technique for aquatic habitat formation in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Sustainability, 2018.

  • H. N. Yoon, S. B. Seo, Y.-O. Kim, 기후변화의 비정상성 대비 댐 운영 개선을 위한 Robust-SDP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2018.

  • I. S. On, Y. D. Kim, Y.-O. Kim, 교호작용 효과를 고려한 수자원 전망의 불확실성 분해,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2018.

  • Y. I. Kim, S. B. Seo, Y.-O. Kim, 미계측유역의 수문모형 매개변수 추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지역화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2018.

  • G. Tegegne, Y.-O. Kim, Modeling ungauged catchments using the catchment runoff response similarity, Journal of Hydrology, 2018.

  • J. H. Sung, Y.-O. Kim, J.-J. Jeon, Application of distribution-free nonstationary regional frequency analysis based on L-moments,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2018.

  • Y. Kim, W. Kim, I. Ohn, Y.-O. Kim, Leave-one-out Bayesian model averaging for probabilistic ensemble forecasting,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2017.

  • G. Tegegne, D. K. Park, Y. Kim, Y.-O. Kim, Selecting hydrologic modelling approaches for water resource assessment in the Yongdam watershed, Journal of Hydrology (New Zealand), 2017.

  • G. Tegegne, D. K. Park, Y.-O. Kim, Comparison of hydrological models for the 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in a data-scarce region, the Upper Blue Nile River Basin, Journal of Hydrology: Regional Studies, 2017.

  • Y. Ryu, Y.-O. Kim, S. B. Seo, I. W. Seo, Application of real option analysis for planning under climate change uncertainty: a case study for evaluation of flood mitigation plans in Korea, Mitigation and Adaptation Strategies for Global Change, 2017.

  • J.-K. Lee, Y.-O. Kim, Selection of representative GCM scenarios preserving uncertainties, Journal of Water and Climate Change, 2017.

  • D. H. Kang, Y.-O. Kim, J. H. Park, 로버스트 의사결정을 이용한 영산강유역 종합치수계획 재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2017.

  • K. J. Kim, Y.-O. Kim, T.-H. Kang, Application of time-lagged ensemble approach with auto-regressive processors to reduce uncertainties in peak discharge and timing, Journal of Hydrology: Regional Studies, 2017.

  • J.-K. Lee, Y.-O. Kim, Y. Kim, A new uncertainty analysis in the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016.

  • C. H. Jang, Y.-O. Kim, 보를 포함한 낙동강 다목적댐 용수공급능력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016.

  • Y. D. Kim, Y.-O. Kim, J. S. Kim, I. S. Ohn, Scaled ridge estimator and its application to multimodel ensemble approaches for climate prediction,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2016.

  • C. M. Jung, M. J. Shin, Y.-O. Kim, SWAT 모형을 이용한 용담댐 유역의 유량 전망 결과 비교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2015.

  • Y. Seo, Y.-H. Seo, Y.-O. Kim, Behavior of a fully-looped drainage network and the corresponding dendritic networks, Water, 2015.

  • Y. Seo, S. Y. Park, Y.-O. Kim, Potential benefits from sharing rainwater storages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in demand, Water, 2015.

  • S. B. Seo, C. R. Kim, Y.-O. Kim, A new way for incorporating GCM information into water shortage projections, Water, 2015.

  • N. E. Kang, E. S. Jung, J. H. Park, Y.-O. Kim, 기후변화 불확실성하의 용수공급계획을 위한 로버스트 의사결정의 적용,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13.

  • C. R. Kim, S. B. Seo, S. W. Choi, Y.-O. Kim,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미래 한반도 물수급 전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2013.

  • J. H. Park, Y.-O. Kim, 안동-임하댐 연계운영을 통한 미래 기후변화 대응,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2013.

  • Y. Seo, J. Ahn, Y.-O. Kim,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benefit of a rain barrel sharing network,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2013.

  • J. H. Sung, H. J. Baek, H. S. Kang, Y.-O. Kim, 서울 지역의 미래 홍수취약도 평가, 한국습지학회지, 2012.

 

  • Climate Change-Sensitive Water Resources Management — CRC Press — 2020

  • 제3판 수문학 — 동명사 — 2019

  • 장단기 물관리 운영시스템 구축 — 한국수자원공사 — 2004

  • 수자원계획의 불확실성 평가기법 개발 — 과학기술부 [서울] — 2004

  • 추계학적 특성을 고려한 월간 최적운영률 작성 — 과학기술부 — 2004

특허
  • 로버스트 최적화를 이용한 이수기 저수지 운영룰 산정방법, 김영오·윤해나, 등록번호 10-2083248, 등록일 2020.02.25

  • 글로벌 건설인적자원 정보인프라 제공방법, 이현수·이복남·이슬기·신승우·고현무·김영오·조재열, 등록번호 10-2073054, 등록일 2020.01.29

  •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실물옵션분석을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나무 구축방법, 김영오·임선후, 등록번호 10-1927898, 등록일 2018.12.05

  • 가중값 산정 기법을 이용한 미래 물부족 예측 방법, 김영오·서승범, 등록번호 10-1214389, 등록일 2012.12.14

  • 지역회귀분석을 이용한 홍수피해금액 및 홍수취약도지수 산정방법, 김영오·장옥재·서승범, 출원번호 10-2010-0046943, 출원일 2010.05.19

  • 지역빈도해석 중에서 지수홍수 알고리즘을 이용한 확률홍수량 산정방법, 김형수·김영오·성장현, 출원번호 10-2010-0017886, 출원일 2010.02.26

  • 가뭄관리를 위한 최적의 운영률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하는 방법, 김영오·음형일, 등록번호 10-0923402, 등록일 2009.10.16

  •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25 발간을 위한 보고서 작성, 환경부, 2024.6 ~ 2025.2

  • 수자원 시설 연계운영 기반의 물 부족 규모별 비상대응 체계 구축, 환경부, 2023.4 ~ 2026.12

  • 관악캠퍼스 수해방지 대책 수립 연구용역, 서울대학교, 2022.12 ~ 2023.3

  • 유량 재생성 및 용수공급조정기준 개선을 통한 충남 서부권 물부족 해소방안, 한국수자원공사, 2021.11 ~ 2022.11

  • 물 안심공간 조성 종합계획 수립연구, 환경부, 2021.6 ~ 2022.6

  • Development of coupling atmospheric-hydrologic-hydrodynamic models and big-data for evaluation and projection of flow characteristics, drought, and saltwater intrusion in the Vietnam Mekong delta, 한국연구재단, 2020.12 ~ 2023.12

  • 관악캠퍼스 물 순환 분석 연구, 서울대학교, 2021.1 ~ 2022.1

  • 유역별 가뭄대응력 평가 및 댐·보 운영 개선방안 연구용역, 한국수자원공사, 2020.6 ~ 2022.3

  • 국민 체감형 가뭄정보 생산기술 개발, 한국수자원공사, 2019.10 ~ 2020.7

  •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통합평가 모형 요소 기술 개발: 통합·건강·물관리 부문, 환경부, 2014.5 ~ 2020.12

  • 수변사업 고도화 연구용역, 한국수자원공사, 2017.10 ~ 2018.10

  •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의사결정 및 사회구현 기술개발, 환경부, 2014.9 ~ 2019.12

  • 사회기반시설의 기후변화 적응력 증대를 위한 리스크 거버넌스 구축 기획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6.9 ~ 2017.8

  • 배출시설 등에 대한 기후변화 취약성 조사평가 방법 고도화 및 매뉴얼 개발 연구, 민간기관, 2017.6 ~ 2017.7

  • 확률장기예보를 활용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구축의 관련사항 검토, 한국수자원공사, 2017.5 ~ 2017.7

  • 통일평화대학원 설립을 위한 기초 조사, 서울대학교, 2016.9 ~ 2017.4

  • 시흥캠퍼스 기숙사 등 주요 프로그램연구, 서울대학교 기획처, 2016.2 ~ 2016.12

  • 주요 인프라 시설의 안전 제고 및 성능 개선을 위한 서울시 정책 및 투자방향, 대한건설협회 서울특별시회, 2014.12 ~ 2015.5

  • 깊은 불확실성내에서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의사결정론에 관한 연구: 수자원 사례를 중심으로, 미래창조과학부, 2013.12 ~ 2016.11

  • 극한상태 구조특성 실험시설 구축, 국토교통부, 2013.12 ~ 2016.8

  • 국토교통 지식정보 활용기반 구축, 국토교통부, 2014.7 ~ 2015.3

  • 제 2차 한국기후변화 평가보고서 발간_3차, 국립환경과학원, 2014.5 ~ 2014.11

  • 제 2차 한국기후변화 평가보고서 발간_2차, 국립환경과학원, 2013.3 ~ 2013.11

  • BK21 사업: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사회 기반건설 사업단, 교육과학기술부·서울대학교발전기금, 2008.3 ~ 2013.2

  • 2012년도 공학교육 혁신센터, 교육과학기술부, 2012.3 ~ 2013.2

  • 글로벌 공학 교육센터 사업, 교육과학기술부, 2009.7 ~ 2013.2

  • 기후변화에 의한 수문 영향분석과 전망, 국토해양부, 2009.12 ~ 2012.12

  • 제 2차 한국기후변화 평가보고서 발간_1차, 국립환경과학원, 2012.3 ~ 2012.11

  • 도림천 상류 저류조 설치 및 빗물 관리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2012.2 ~ 2012.7

  • 기후변화에 따른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수해방지대책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건설환경종합연구소, 2011.10 ~ 2012.2

  • 강우예측정보를 활용한 추계학적 홍수 예측,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1.10 ~ 2011.12

  •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불확실성이 수질예측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1.3 ~ 2011.9

  •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표준화 방법론 개발 연구 용역, 환경부, 2010.12 ~ 2011.4

  • 한강유역에 적용 가능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고찰 및 활용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9 ~ 2010.12

  • 국가 가뭄재해 정보시스템 시범 개발, 소방방재청, 2008.10 ~ 2010.9

  • 이상홍수 평가기술 개발 (5차년도),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9.5 ~ 2010.6

  • 기존댐 재평가 및 최적용량배분 기본계획수립, 한국수자원공사, 2009.9 ~ 2010.5

  • 도시자연재해 안전기술 개발(4차년도),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9.6 ~ 2010.4

  • 복합재해 지도 작성, 국토해양부, 2008.7 ~ 2010.4

  • 기후변화 백서 발간, 국립환경과학원, 2009.3 ~ 2009.11

  • 건설기술혁신사업 차세대 홍수방어기술개발,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8.12 ~ 2009.6

  • 도시자연재해 안전기술 개발(3차년도),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8.8 ~ 2009.6

  • 기후변화에 대비한 건설·환경 대응전략 수립연구, 한국공학한림원, 2008.5 ~ 2008.12

  • 주암댐 치수능력 증대사업 타당성 재조사를 위한 PMP/PMP의 적정성 검토 및 재산정, 한국개발연구원, 2008.7 ~ 2008.11

  • 재난·안전관리 전문인력 양성 기획 연구, 소방방재청, 2008.7 ~ 2008.11

  • 앙상블 모형을 이용한 확률적 유량예측, 국토해양부·한강홍수통제소, 2007.9 ~ 2008.7

  • 물관리 기본계획 구축방안 연구, 한국수자원공사, 2007.8 ~ 2008.5

  • 차세대 홍수방어기술 기획연구,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7.12 ~ 2008.5

  • 댐설계기준의 적정성 검토, 한국개발연구원, 2007.8 ~ 2007.10

  • 이상홍수 평가기술 개발(1~4차년도),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6.3 ~ 2009.5

  • 가뭄관리정보체계 수립용역, 한국수자원공사, 2005.7 ~ 2006.6

  •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연구과업: 지구온난화에 따른 미래 이치수 안전도 평가, 한국수자원공사, 2005.5 ~ 2006.5

  • 국제환경현안 대응해결기술: 기후변화에 의한 물순환의 예측 및 영향 평가, 환경부, 2003.6 ~ 2006.5

  • 안양천 물순환 건전화 기술개발, 한국수자원공사, 2004.10 ~ 2006.3

  • 추계학적 특성 및 불확실성을 고려한 댐군 최적연계운영기술개발 및 활용성 평가, 한국수자원공사, 2004.7 ~ 2006.3

  • 유역통합 물관리를 위한 하천유출량 예측방안 연구, 한국수자원공사, 2003.12 ~ 2004.11

  • 안양천 물순환 건전화 기술개발, 21C프로티어사업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단, 2003.11 ~ 2005.3

  • 통일시대 한반도 수자원 전망, 서울대학교, 2003.10 ~ 2004.10

  • 추계학적 특성을 고려한 월 최적운영률 작성, 21C 프론티어사업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단, 2002.1 ~ 2003.12

  • 수자원계획의 불확실성 평가기법 개발, 21C 프론티어사업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단, 2001.11 ~ 2004.6

  • 제31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2021.09

  • 20년 근속공로표창 — 서울대학교 — 2019.10

  • 표창 — 국무총리 — 2018.03

  • 학술상 — 사단법인 한국수자원학회 — 2018

  • 신양공학학술상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 2012.12

  • 한국방재학회 우수논문상 — 한국방재학회 — 2010.02

  • 한국수자원학회 우수논문상 — 한국수자원학회 — 2008.05

  • 국제수리학회 개최 공로 — 한국수자원학회 — 2005.12

  • 전국학생지회 창설 공로 — 대한토목학회 — 2005.03

  • 대학신문, 「서울대 인재상 설정 단과대부터」, 2023.11.13

  • 중앙일보, 「물난리 지나면 금세 잊히는 재난 대책들」, 2023.08.03

  • 중앙일보, 「2050 탄소중립, 정치 아닌 공학으로 풀어야」, 2023.06.15

  • 조선일보, 「‘정치가 과학 겉으면 국가 미래 없다’는 과학자들 우려」, 2020.11.26

  • 조선일보, 「과학계 단체 ‘가덕도는 정치에 좌우, 월성원전은 비과학적 왜곡’」, 2020.11.24

  • 문화일보, 「방역도 ‘정치 아닌 과학’ 이어야 한다」, 2021.06.15

  • 문화일보, 「‘실패의 교훈’ 빨리 배워야 한다」, 2021.05.18

  • 문화일보, 「기후변화 적응 不在와 탈원전·가덕도」, 2021.04.20

  • 문화일보, 「文정부 ‘통합물관리’ 갈 길 멀다」, 2021.03.23

  • 문화일보, 「탈탄소-탈원전 자승자박」, 2021.02.23

  • 문화일보, 「과학·공학 무시한 정치의 위험성」, 2021.01.21

  • 중앙일보, 「환경부는 왜 홍수 대응에 실패했나」, 2020.09.03

  • 한국일보, 「새 정부 물관리 행정체계의 전제조건」, 2017.04.23

  • 경향신문, 「반복되는 가뭄, 탈출구는 없는걸까」, 2014.03.25

  • 조선일보, 「‘4대강’ 반대론자로서 성급한 복원론 반대한다」, 2013.03.22

  • 동아일보, 「물부족량 28년후 43% 늘어」, 2012.06.08

  • 매일경제, 「수자원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2012.03.22

  • MBN 뉴스, 「장마철 ‘구멍 난 도로’ 되풀이 왜?」, 2011.07.19

  • 재난포커스, 「水자원 경보ㆍ‘한국형 가뭄위기대책’ 없나 근본대책, ‘개발’ 이전 ‘효율화 방안’ 필요성 대두」, 2009.04.01

  • 과실연, 「‘4대강 살리기보다 동네 하천 더 급하다’」, 2009.03.03

  • 조선일보, 「잃어버린 우리의 小河川을 찾아서」, 2009.03.21

  • 토목신문, 「‘4대강 사업, 유역통합관리에 의해 추진돼야’」, 2009.03.11

  • 조선일보, 「내가 한반도 운하 연구를 중단한 이유」, 2008.03.11

  • 중앙일보, 「지구온난화 적응도 중요하다」, 2008.11.20

  • 한겨레, 「댐-하천 통합관리가 필요하다」, 2005.03.22

(샘플)

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