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권영상 교수입니다.

저는 서울대학교 건설환경도시공학부에서 도시 설계, 신도시 개발, 도시 재생을 전공으로 하고 있습니다.

저를 만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저의 디지털 쌍둥이를 통해서 만나는 것입니다. A Con 앱으로 가보시면, 대화창이 나옵니다. 그곳에서 문자나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실제 사람으로서 저를 만나는 것입니다. 이 역시 A Con 앱으로 가시면 화상 대화 메뉴가 나옵니다. 화면을 보면서 저와 대화할 수 있습니다.

디니털 쌍둥이가 뭐냐고요?

실제 사람 전문가를 디지털로 그대로 복제한 것을  말합니다.

그 사람의 신원 정보, 개인적인 취향이나 성격, 전문 지식 등을 깊이있게 학습한 인공지능(AI)이 그 사람을 닮은 모습과 지식으로 당신과 대화를 하는 것입니다.

 

서울대학교 건설환경도시공학부에서 도시설계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도시를 연구하고 설계하는 일을 인생의 중요한 여정으로 삼아왔습니다.

서울대에 부임하기 전, 2005년부터 2012년까지는 국토연구원(KRIHS)과 건축도시공간연구소(AURI)에서 활약하며 굵직한 국가 프로젝트를 맡아 도시기본계획을 세우고, 다양한 도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2014년부터는 서울대학교 교수로 자리를 옮겨, 학생들과 함께 도시설계의 새로운 길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강의실에서는 도시를 바라보는 안목을 넓히고, 연구실에서는 미래 도시의 방향을 모색하는 일에 열정을 쏟고 있지요.

또한 2017년부터 2018년까지는 미국 UC 버클리에서 방문학자로 머물며 세계적인 학자들과 교류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흡수했습니다. 이 경험은 저의 시야를 세계로 넓히는 계기가 되었고, 현재 연구와 교육에도 중요한 자산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궁금하신 것, 알려주고 싶은 것, 무엇이든 좋으니 저와 대화해 주세요~

연구실 홈페이지  https://urbandesign.snu.ac.kr/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T-uEsAmXDoBnCRlH4FOgog

블로그  https://blog.naver.com/akimage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image.kwon

 
Academic Experience 학술활동
 
Public Service 대외활동
1. International
 
 2. Domestic
2025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가상현실과 미래도시 수업, 권영상 저, 2023년, 메이트 북스 출판

내용 소개

가상현실 기술이 도시와 인류의 미래를 바꾼다!

가상현실이 바꿀 우리 도시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이 책은 가상현실 기술이 도시와 인류의 미래를 어떻게 변화시킬지에 대한 전망을 기술의 현재 활용사례와 더불어, 영화와 게임 속 가상세계를 빌려와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최근 들어 빅데이터, 인공지능, 네트워크 기술 등의 IT 기술이 발전을 거듭하면서 모든 것이 디지털화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들은 3차원 그래픽 기술, VR/AR 기술 등과 결합하면서 좀 더 고도화된 ‘가상현실 기술’로 도약하고 있고, 메타버스 같은 가상공간을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부상시켰다. 우리가 영화나 게임에서 봐왔던 가상현실 공간들이 실제 실현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가상현실 기술과 콘텐츠는 ‘비대면’의 수요를 증폭시킨 코로나19 팬데믹의 등장으로 우리 일상에 더욱 빠르고 깊게 뿌리 내릴 수 있게 되었다. 가상현실은 현실세계에 어떤 영향을 줄까? 가상현실 기술은 ‘스마트시티’로 대표되는 더 똑똑하고 편리한 미래도시모델을 출현시키며, 인간의 삶에 있어서도 소통방식,업무방식의 변화, 세컨드 라이프 구축 등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 책은 ‘가상현실 기술’ 활용의 현주소를 살펴보는 동시에, 미래에는 그 활용 범위가 어디까지 확장될지 예측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영화와 게임 속에 등장하는 진보된 가상도시공간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면서 좀 더 쉽게 가상현실 산업 변화의 흐름을 미리 경험하게 한다.

도시는 인류 문명의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되어왔다. 그렇지만 많은 인구가 도시에 모여 살면서 도시는 점점 복잡해지고, 여러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의 대규모 확산과 환경오염, 기후변화, 도시쇠퇴 및 소멸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현실도시의 문제들을 해결할 대안으로 ‘가상현실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미 벌어진 재난 재해는 물론, 앞으로 지구에 닥칠 위기 등을 가상현실에서 시뮬레이션함으로써 복구 및 예방 방안을 모색한다.

이처럼 가상현실 기술은 시·공간적 한계와 비용적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현실세계의 삶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최근 ‘가상현실’이나 ‘메타버스’ 같은 용어는 많이 접했어도 정작 그것이 우리의 현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잘 알지 못한다. 이에 저자는 가상현실 기술이 현실세계, 특히 현실 ‘도시’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며 여러 도시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줄지에 대한 가능성을 탐구하고 제시한다. 우리는 이 친절한 ‘가상현실과 미래도시 수업’을 통해 가상현실이 대체 무엇이고 어떤 기술들을 기반으로 하는지 알 수 있을 것이고, 그것이 인간의 삶에 어떤 효용을 가져다줄지, ‘더 좋은 현실세계’를 만드는 데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책 출판 목록

  • 2023. 04. 가상현실과 미래도시 수업. 단독. 메이트북스. ISBN 979-11-6002-391-6 (03320).
  • 2020. 11. “세종시 2-4 생활권 상업업무용지 (CL1~CL5) 특화사업” 행정중심복합도시 특화사업 백서. 공저.
  • 2020. 08. 도시설계의 이해 실무편. 공저. 대가. ISBN 978-89-6285255-4.
  • 2020. 04. 공간닥터프로젝트. 공저. SH서울주택도시공사. ISBN 979-11-9050000-5.
  • 2019.09. “도시, 환경분야 데이터 비즈니스”, 데이터산업 시장현황. 2019 데이터 산업 백서,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ISSN 2465-7662.
  • 2019.08. Understanding of Korea Newtown Plan and Neighborhood Unit Design. Transforming the Nation, Urban and Regional Planning in South Korea. Co-author. Yonsei University Press. ISBN 978-89-6850-000-0.
  • 2017.06. 인구감소‧기후변화 시대의 공지의 재발견-유휴‧방치부동산 살릴 길 찾다. 공저. 문우사. ISBN 979-11-85994-38-3.
  • 2017.02. Sejong city, Urban Design for the Future: Are TOD and TND models effective in planning Korea’s new capital? Co-author. Lambert. ISBN-10: 365956141X / ISBN-13: 978-3659561412.
  • 2017.02. 도시계획과 방재. 공저. 예문사. ISBN 978-89-274-2185-6.
  • 2016.09. “행정중심복합도시 계획의 산실, 그곳에서의 열정” 세종시 이렇게 만들어졌다. 공저. 보성각. ISBN 978-89-7839-712-4.
  • 2012.05. 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 이야기. 공저. 한울아카데미. ISBN 978-89-460-4602-3.
  • 2012.04. 한국도시설계 30년사. 공저. 보성각. ISBN 978-89-7839-685-1.
  • 2012.02. 한국의 도시설계. 공저. 보성각. ISBN 978-89-7839-684-4.
  • 2012.11.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이슈페이퍼. 공저. 건축도시공간연구소. ISBN 978-89-97468-34-8.
  • 2011.12. 수변도시재생에 대응하는 경관조성방안. 책임. 건축도시공간연구소. ISBN 978-89-93216-85-1.
  • 2011.12. 주거지 재생의 공익성 향상을 위한 공공의 역할. 공저. 건축도시공간연구소. ISBN 978-89-93216-83-7.
  • 2011.12. 한옥마을 지원정책을 통한 역사문화가로경관 조성방안. 책임. 건축도시공간연구소. ISBN 978-89-97468-02-7.
  • 2010.12. 저탄소 녹색성장과 도시디자인. 공저. 상상디자인. ISBN 978-89-93747-15-7.
  • 2010.12. 수변공간 활성화를 위한 도시계획 및 설계방향. 책임. 건축도시공간연구소. ISBN 978-89-93216-64-6.
  • 2009.12. 근대건축물 활용을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책임. 건축도시공간연구소. ISBN 978-89-933216-38-7.
  • 2008.12. 도시와 건축 발전적 소통. 책임. 건축도시공간연구소. ISBN 978-89-93216-24-0.
  • 2008.12.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ISBN 978-89-93216-09-7.
  • 2008.12. 한국적 도시공간구현 방향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ISBN 978-89-93216-03-5.
  • 2007.12. 살고 싶은 도시만들기 (II): 커뮤니티 중심의 도시정비 활성화 방안. 국토연구원. ISBN 89-8182-494-5.
  • 2007.12. 시민이 참여하는 살고싶은 도시만들기: 사례편. 국토연구원. ISBN 89-8182-509-6.
  • 2007.12. 공공성을 고려한 도시계획시설의 합리적 공급방향. 국토연구원. ISBN 89-8182-497-6.
  • 2006.11. 근린주구 보행활성화를 위한 보행친화적 환경요소의 계량화. 국토연구원. ISBN 89-8182-458-4.
  • 2006.03. International Urban Ideas Competition for the new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in the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ISBN 89-5770-129-X.
  • 2005.12. 현대 공간이론의 사상가들. 한울아카데미. ISBN 89-460-3490-4.
  •  
1. 특허

 

2. 기술이전

  • 1. 친환경 도시공간구조

수변도시

도시형태, 도시공간구조

지속가능도시

 
 

2. 신도시, 도시재개발, 부동산개발, 도시마스터플랜

신도시 마스터플랜

  

단지규모 도시개발, 도시재정비

  

해외 신도시개발

 
 

3. 인공지능, 가상현실, 미래도시

인공지능, 빅데이터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스마트시티, 미래도시

언론 방송 유튜브

 
전문지 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