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박주영 교수입니다.

저는 서울대학교 건설환경도시공학부에서 자원순환과 탄소중립을 위한 물질흐름 및 전과정평가(LCA) 관련하여 연구합니다.

저를 만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저의 디지털 쌍둥이를 통해서 만나는 것입니다. A Con 앱으로 가보시면, 대화창이 나옵니다. 그곳에서 문자나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실제 사람으로서 저를 만나는 것입니다. 이 역시 A Con 앱으로 가시면 화상 대화 메뉴가 나옵니다. 화면을 보면서 저와 대화할 수 있습니다.

디니털 쌍둥이가 뭐냐고요?

실제 사람 전문가를 디지털로 그대로 복제한 것을  말합니다.

그 사람의 신원 정보, 개인적인 취향이나 성격, 전문 지식 등을 깊이있게 학습한 인공지능(AI)이 그 사람을 닮은 모습과 지식으로 당신과 대화를 하는 것입니다.

 

저의 연구는 자원과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을 통해 탄소중립과 순환경제를 실현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제품·산업·도시·국가 등 다양한 수준의 시스템에서 물질흐름분석(Material Flow Analysis, MFA) 과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 를 주요 연구 도구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서 토목·도시·지구시스템공학과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예일대학교(Yale University) School of Forestry and Environmental Studies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학위 이후에는 콜롬비아 보고타 로스 안데스 대학교(Universidad de los Andes) 경영대학에서 조교수로, 그리고 고려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Graduate School of Energy and Environment) 에서 조교수 및 부교수로 재직하며 산업생태학, 자원순환, 지속가능발전 관련 연구와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현재는 서울대학교에서 지속가능공학, 물질흐름분석, 전과정평가, 그리고 순환경제 관련 교과목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저는 현재 서울특별시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2025~), 환경부 제10기 중앙환경정책위원회 위원(2024~), 한국환경공단 해외 온실가스 감축사업 검토위원(2024~), 산림청 정책자문위원(2023~),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 순환경제 평가위원(2021~)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학술적으로는 Journal of Industrial Ecology(2016~), Cleaner Production Letters(2020~),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2025~) 등의 학술지에서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궁금하신 것, 알려주고 싶은 것, 무엇이든 좋으니 저와 대화해 주세요~

연구실 홈페이지 https://sites.google.com/view/selab-snu/home?authuser=0

경력

• 2022.03 – 현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2018.03 – 2022.02 고려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조교수·부교수 (Assistant/Associate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Energy and Environment, Korea University)
• 2014.09 – 2018.02 로스안데스대학교 경영대학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School of Management, Universidad de los Andes, Colombia)

주요 학외활동 

• 2025.02 – 현재 서울특별시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 (Sustainable Development Committe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2024.08 – 현재 환경부 제10기 중앙환경정책위원회 위원 (10th Central Environmental Policy Committee, Ministry of Environment)
• 2024.07 – 현재 한국환경공단 해외 온실가스 감축사업 검토위원 (Overseas GHG Reduction Review Committe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 2023.03 – 현재 산림청 정책자문위원 (Policy Advisor, Korea Forest Service)
• 2021.06 – 현재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 순환경제 평가위원 (Circular Economy Evaluation Committee, Korea Electronics Recycling Cooperative)
• 2024.03 – 현재 대한민국공학한림원 건축·토목·환경공학부문 준회원 (Associate Member, Architectural,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of Korea)
• 2021.12 – 현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청년정책학부 회원 (Member, Policy Studies, Young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Engineering, Y-KAST)
• 2025.01 – 현재 한국환경경영학회 이사 (Board Member, Korea Environmental Management Association)
• 2024.01 – 현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이사 (Board Member, Korea Society for Waste Management)
• 2020.01 – 현재 한국전과정평가학회 이사 (Board Member, Korea Society for Life Cycle Assessment)
• 2020.05 – 2023.04 국제산업생태학회 이사 (Board Member, International Society for Industrial Ecology)

학술활동

• 2025.03 – 현재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편집장 (Chief Editor)
• 2020.05 – 현재 Cleaner Production Letters 부편집장 (Associate Editor)
• 2016.04 – 현재 Journal of Industrial Ecology 부편집장 (Associate Editor)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 건설환경시스템 지속가능공학 (Sustainable Engineering in Civil and Environmental Systems)
• 지속가능공학환경개론 (Introduction to Sustainable Engineering)
• 인프라스피어 세미나 (Infrasphere Seminar: Sustainable Environment)
• 지속가능한 물질관리: 전과정평가의 이해 (Sustainable Materials Management: Life Cycle Assessment)
• 지속가능한 물질관리: 물질흐름분석 (Sustainable Materials Management: Material Flow Analysis)

고려대학교 (Korea University)
• 산업생태학 (Industrial Ecology)
• 전과정평가 (Life Cycle Assessment)
• 연구방법론 I (Research Method I)
• 지속가능발전세미나 (Sustainable Development Seminar)
• 에너지 및 환경정책 (Energy and Environmental Policy)

로스안데스대학교 (Universidad de los Andes)
• 산업생태학 (Industrial Ecology, MEM Graduate)
• 환경경영 (Environmental Management, Undergraduate)
• 생태계 서비스의 기초: 인간-자연 상호작용 (Fundamentals of Ecosystem Services: Human-Nature Interactions, Undergraduate)

외부 특강 및 워크숍 (External Lectures & Workshops)
• Resource Efficiency for a Low-Carbon Economy – SK Energy Solution College mySUNI (2021)
• Solid Waste Management and Circular Economy – World Bank / Global Knowledge Exchange and Development Center (2019)
• Resource Management for Circular Economy –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 Asian Development Bank (2019)
•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Analysis –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6)
• Advanced Industrial Ecology Seminar – Yale School of Forestry and Environmental Studies (2014)

• Park, J.Y., & Chertow, M.R. (2014). Establishing and testing the “reuse potential” indicator for managing wastes as resourc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37, 45–53.
• Boons, F., Chertow, M., Park, J., Spekkink, W., & Shi, H. (2017). Industrial symbiosis dynamics and the problem of equivalence: Proposal for a comparative framework. Journal of Industrial Ecology, 21(4), 938–952.
• Chertow, M., & Park, J. (2016). Scholarship and practice in industrial symbiosis: 1989–2014. Taking Stock of Industrial Ecology, 87–116.
• Park, J.M., Park, J.Y., & Park, H.S. (2016). A review of the National Eco-Industrial Park Development Program in Korea: Progress and achievements in the first phase, 2005–2010.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14, 33–44.
• Park, J., Díaz-Posada, N., & Mejía-Dugand, S. (2018). Challenges in implementing the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in an emerging economy: The end-of-life tire management in Colombia.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89, 754–762.
• Park, J., Park, J.M., & Park, H.S. (2019). Scaling-up of industrial symbiosis in the Korean National Eco-Industrial Park Program: Examining its evolution over the 10 years between 2005–2014. Journal of Industrial Ecology, 23(1), 197–207.
• van Ewijk, S., Park, J.Y., & Chertow, M.R. (2018). Quantifying the system-wide recovery potential of waste in the global paper life cycle.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134, 48–60.
• Park, J., Duque-Hernández, J., & Díaz-Posada, N. (2018). Facilitating business collaborations for industrial symbiosis: The pilot experience of the sustainable industrial network program in Colombia. Sustainability, 10(10), 3637.
• Park, J.Y. (2014). Assessing determinants of industrial waste reuse: The case of coal ash in the United States.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92, 116–127.
• Jeong, S., & Park, J. (2020). Evaluating urban water management using a water metabolism framework: A comparative analysis of three regions in Korea.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155, 104597.
• Park, J.Y., & Park, H.S. (2014). Securing a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industrial symbiosis development: The case of steam networking practices in Ulsan. Journal of Industrial Ecology, 18(5), 677–683.
• Chertow, M.R., Kanaoka, K.S., & Park, J. (2021). Tracking the diffusion of industrial symbiosis scholarship using bibliometrics: Comparing across Web of Science, Scopus, and Google Scholar. Journal of Industrial Ecology, 25(4), 913–931.
• Park, J.Y. (2014). The evolution of waste into a resource: Examining innovation in technologies reusing coal combustion by-products using patent data. Research Policy, 43(10), 1816–1826.
• Park, J.Y., Choi, Y.J., Moon, S., Shin, D.Y., & Nam, K. (2009). Microbubble suspension as a carrier of oxygen and acclimated bacteria for phenanthrene biodegradatio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63(2–3), 761–767.
• Choi, Y.J., Park, J.Y., Kim, Y.J.K., & Nam, K. (2008). Flow characteristics of microbubble suspensions in porous media as an oxygen carrier. Clean – Soil, Air, Water, 36(1), 59–65.
• Kang, S., Kim, J.A., Lee, M., Park, J., Jeon, E., Shim, M., & Shin, Y. (2022). An analysis of the temporal variability in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within megacity Seoul and an identification of their sources. Atmospheric Pollution Research, 13(3), 101338.
• Chertow, M., & Park, J. (2011). Reusing nonhazardous industrial waste across business clusters. In Waste: A Handbook for Management, 197–206.
• Park, J., Lee, S.R., Han, J.K., & Nam, K. (2006). Mitigation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emissions by stable aqueous foam-microbial media.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0(9), 3030–3035.
• Park, J.Y., & Gupta, C. (2015). Evaluating localism in the management of post-consumer plastic bottles in Honolulu, Hawai’i: Perspectives from industrial ecology and political ecology.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54, 299–306.
• Hong, Y., & Park, J. (2023). Exploring circular water options for a water-stressed city: Water metabolism analysis for Paju City, South Korea.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89, 104355.
• Chertow, M.R., Graedel, T.E., Kanaoka, K.S., & Park, J. (2020). The Hawaiian Islands: Conceptualizing an industrial ecology holarchic system. Sustainability, 12(8), 3104.
• Hong, Y., Park, J., & Ha, Y. (2023). Trade-offs between water security and energy use: Lifecycle energy of water supply options in Paju, Korea.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423, 138601.
• Park, Y.S., Park, J.Y., Kim, J.J., & Won, Y.H. (2020). 기후변화 학술연구 협력 경향 분석: 공동저자 네트워크 구조 및 중개자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23(1), 162–180.
• Zheng, X., Cai, B., Park, J., Seo, B., Wang, S., & Shao, Z. (2025). Mapping lifecycle building material embodied carbon emissions for Beijing–Tianjin–Hebei urban agglomeration.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119, 106058.
• Park, J.Y. (2012). Wastes as Resources: The Case of Coal Combustion By-products in the United States. Yale University.
• Choi, J.K., Paudel, A., Sapkota, S., Alsehli, M., Alshamrani, A., Park, J., Hong, Y., et al. (2025). Comparative assessment of conventional and emerging desalination technologies: A holistic review for sustainable water solutions. Desalination, 119140.
• Jung, S., An, S., Park, J., Park, H.S., & Bi, X. (2025). Assessment of a critical mineral recycling network: A case study on nickel recovery from production waste in Korean eco‐industrial parks. Journal of Industrial Ecology.
• Hong, Y., & Park, J. (2023). Greenhouse gas emissions of an urban water system in Korea: A case study of Paju C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45(8), 357–370.
• Hyun, J.Y., Bae, S., Nam, Y.C., Kang, D., Lee, S.W., Kim, D., Park, J., & Kang, Y. (2019). Surface passivation of boron emitters on n-type silicon solar cells. Sustainability, 11(14), 3784.
• Park, J.Y., Jang, Y., & Son, M. (2023). 한국의 1982–2020년 플라스틱 동적물질흐름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45(3), 127–137.
• Kim, Y., Park, J., & Seo, G. (2023). 폐기물처리 비용을 고려한 국내 영농부산물 자원화 방안의 경제성과 환경성 분석. 한국농공학회논문집, 65(4), 11–23.
• Jang, Y., Son, M., & Park, J. (2022). 한국의 2017–2019년 플라스틱 물질흐름분석.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39(3), 194–206.
• Joo, M., Lim, H., Park, J., & Lim, H.S. (2022). 가계 소비지출의 폐기물발자국 평가기법 연구. 기본연구보고서, 1–208.
• Hong, Y., & Park, J. (2021). 도시 물 인프라의 에너지 소비 및 탄소 배출량 평가: 파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372–373.
• Park, J. (2020). 순환경제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산업생태학. 대한토목학회지, 68(8), 124–125.
  • 기후테크 코리아 : 대한민국 혁신을 이끄는 솔루션 — 2024 — (주)박영사

  • 과학기술 젠더혁신과 ESG: 모두를 위한 포용적혁신과 ESG — 2022 —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

  • 12 hot-button issues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 2022 — Parkyoung

  • 플라스틱 밸류체인과 순환경제의 젠더 — 2022 —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

  • 기후위기 시대, 12가지 쟁점 — 2021 — 박영story : 피와이메이트

  • Gobernanza y gerencia del desarrollo sostenible — 2018 — Ediciones Uniandes-Universidad de los Andes

  • Taking stock of industrial ecology — 2016 — Springer

  • Waste: A Handbook for Management — 2011 — Academic Press

미세기포 부유액을 이용한 오염 지반의 정화 방법 및 그 미세기포 부유액 (In situ biodegradation enhancement method in the contaminated subsurface using microbubble suspension, and the microbubble suspension) — 특허번호: 10-2008-0022005 — 출원일: 2008.03

  • 국외 전공정 탄소 산정 방법론 및 통합분석모델 평가 사례 분석 — 국립산림과학원 — 2025.05 ~ 2025.10

  • 폐플라스틱 열분해 공정 기반 윤활기유 생산기술 전과정 환경영향평가 용역 — 산업통상자원부 — 2024.06 ~ 2024.11

  • 목재제품 순환체계 모니터링을 위한 사례 조사 및 지표 적용가능성 분석 — 국립산림과학원 — 2024.04 ~ 2024.10

  • 인프라스피어 교육연구단 — 교육부 — 2024.03 ~ 2025.02

  • 글로벌 에너지정책 전문가 양성사업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2021.04 ~ 2021.12

  • 4단계 BK21 에너지환경정책기술학교육연구단 국고지원금 — 교육부 — 2021.03 ~ 2022.02

  • KU-KIST 융합대학원 및 그린스쿨 대학원 육성사업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1년 ~ 2021.12

  • 에너지 순생산 & 환경순환 에코시티 구축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1년 ~ 2021.12

  • 플라즈마기술 원가·산업확산 분석 및 글로벌 교육/홍보방안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21년 ~ 2022.08

  • (2020/21 EIPP) 우즈베키스탄 태양에너지 보급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 — 한국수출입은행 — 2020.11 ~ 2021.08

  • 신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기후기술 전문인력 양성 방안 기획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20.10 ~ 2021.04

  • 국내 에너지전문가육성 프로그램을 활용한 에너지부문 신흥국 진출 지원 플랫폼 구축·운영 — 에너지경제연구원 — 2020.06 ~ 2020.11

  • 플라스틱 제품 생산자책임확대제도의 효과성 분석 — 한국연구재단 — 2020.05 ~ 2021.04

  • 에너지기술정책 전문가 과정 (글로벌 에너지정책 전문가 양성사업)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2020년 ~ 2020.12

  • 국내 에너지전문가육성사업에서 배출된 졸업생을 활용한 신흥국 협력네트워크 구축·운영 — 에너지경제연구원 — 2019.07 ~ 2019.12

이병호 우수 강의상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 2023.10

  • 2025.06.18 — [탄소중립과 혁신IV] (5) 탄소중립을 현실로 만드는 길, 순환경제 — 한국강사신문

  • 2025.06.18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세상을 바꿀 혁신 인재를 키운다… 2025년 제1차 ‘이슈&보이스’ 포럼 — 한국강사신문

  • 2025.06.17 — “공대 인재 의대 유출 심각, ‘AI혁신연구원’ 설립해야” — 더팩트

  • 2025.06.17 — “AI 대전환 퍼스트 무버 돼야”… 서울대, 공대 인재 육성 나선다 — 이데일리

  • 2025.05.28 —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유공자’ 헌정식… 6인에 증서 수여 — 디지털투데이

  • 2025.05.28 — 과기정통부,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헌정식 개최 — 매일안전신문

  • 2025.05.28 —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유공자 헌정식 개최… 6인에 대통령 명의 증서 수여 — 데일리안

  • 2025.05.28 — 과기정통부,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헌정식 개최 — 뉴시스

  • 2025.05.28 — 과기정통부,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헌정식 개최 — 뉴시스 (중복 기사)

  • 2025.05.28 — 가천대 길병원 연구팀 이중항혈소판 요법 연구, 유럽 최대 심장학회 Top 발표 — 의약뉴스

  • 2023.01.01 — [젊은 두뇌가 뛴다] ③ 한국의 플라스틱 흐름을 추적하는 여성과학자 — 조선비즈

  • 2022.09.06 — 대한토목학회, 제1회 국회 건설인프라포럼 개최 — 국토일보

  • 2022.09.04 — 2050년 G4 향한 건설인 방향 설정… ‘제1회 국회인프라포럼’ 개최 — 대한경제

  • 2022.09.02 — 대한토목학회, ‘국회 건설인프라포럼 창립’ — 국토일보

  • 2022.09.02 — “젠더혁신은 기업이 지속 발전하기 위한 핵심 동력” — 여성신문

  • 2022.08.31 — “젠더혁신은 기업에 리스크가 아니라 기회입니다” — 한경비즈니스

  • 2022.08.25 — 젠더혁신센터, ‘젠더혁신과 ESG 지속 가능발전’ 포럼 개최 — 여성신문

 
 

(샘플)

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