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주혁 교수입니다.

저는 서울대학교 건설환경도시공학부에서 탄소중립형 콘크리트와 산업부산물 순환·광물탄산화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저를 만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저의 디지털 쌍둥이를 통해서 만나는 것입니다. A Con 앱으로 가보시면, 대화창이 나옵니다. 그곳에서 문자나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실제 사람으로서 저를 만나는 것입니다. 이 역시 A Con 앱으로 가시면 화상 대화 메뉴가 나옵니다. 화면을 보면서 저와 대화할 수 있습니다.

디니털 쌍둥이가 뭐냐고요?

실제 사람 전문가를 디지털로 그대로 복제한 것을  말합니다.

그 사람의 신원 정보, 개인적인 취향이나 성격, 전문 지식 등을 깊이있게 학습한 인공지능(AI)이 그 사람을 닮은 모습과 지식으로 당신과 대화를 하는 것입니다.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에서 콘크리트 재료와 탄소저감 기술을 연구·교육하는 문주혁입니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2007)와 석사(2009)를 마친 뒤,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에서 박사학위(2013)를 받았습니다. 이후 UC 버클리 연구자 시절을 시작으로 미국 스토니브룩대 토목공학과 조교수(2013–2015), 싱가포르국립대 조교수(2016–2017)를 거쳐 2018년 서울대학교에 부임해 조교수·부교수를 역임했고, 2025년부터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저의 연구는 시멘트·콘크리트의 전과정에서 탄소배출을 줄이는 재료·공정 혁신에 초점을 둡니다. 구체적으로는 CO2 광물탄산화(in-situ CO2 혼입, 가속 탄산화)와 저탄소 결합재(제강·페로니켈 슬래그, 플라이애시, 바텀애시)의 고활성화, 초고성능·경량 콘크리트(UHPC/UHPLC) 및 자가치유·내열 복합체 설계, CNT·섬유 보강 다기능 콘크리트, 알카놀아민·기계화학 기반 수화/분쇄 메커니즘 규명, 마이크로CT·라만·나노기공 네트워크를 활용한 수송·내구 성능 예측 모델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ISO/TC 71·265 등 국제 표준화 활동과 아시아콘크리트연맹 등 학술 네트워크를 통해 연구 성과의 산업·정책 적용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궁금하신 것, 알려주고 싶은 것, 무엇이든 좋으니 저와 대화해 주세요~

연구실 홈페이지 https://sites.google.com/view/moonslab/home?authuser=0

PhD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13

M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9

B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건설환경공학부

  • 교수 (Professor), 2025.03 – 현재

  •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2021.03 – 2025.02

  •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2018.03 – 2021.02

싱가포르국립대학교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NUS)

  •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2016 – 2017

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 (Stony Brook University, USA)

  •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2013 – 2015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SA)

  • 대학원 연구원 / 강사 (Graduate Student Researcher & Instructor),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2009 – 2013

 
 

기타활동

  • Treasurer, Asian Concrete Federation (2025–2027)

  • Co-Leader, ISO/TC 71/SC 8/WG 9 (Determination of CO₂ sequestrated in concrete and concrete constituents, 2024–present)

  • Convener, ISO/TC 265-AHG (Carbon Dioxide Capture, Transportation, and Geological Storage, 2023–present)

  • Steering Committee Member, International Congress on the Chemistry of Cement (ICCC), 2024–present

  • Technical Committee Member, RILEM TC-CSA (2024–present)

  • Associate Editor, Journal of Sustainable Cement-Based Materials (2021–present)

  • Associate Editor,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017–present)

  • Director, Singapore Concrete Institute (2016–2017)

  • Scientific / Organizing Committee Member, EASEC-17, EASEC-18, ICCCM 2022, ReACT2024, and other international conferences

2025

  • W. Kim, J. Lee, J. Park, J. Moon, Thermal influence and stability of in-situ mixed CO₂ in cementitious mineral phases,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2025.

  • D. Jeon, Y. Byun, O. Kennedy, H. Kim, J. Lee, J. Moon, Sodium bicarbonate-induced mineral carbonation of alkali-activated slag (AAS) system: Modified early reaction and long-term CO₂ sequestration potential,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2025.

  • H. Kang, J. Lu, J. Yang, A. Lim, N. Park, J. Moon, C. Poon, Effect of mono-ethylene glycol on hydr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aste glass replacement cement composites, Case Studies in Construction Materials, 2025.

  • J. Park, A. Lim, C. Poon, S. Kang, J. Moon, Scalable carbonation of low-reactivity steel slag monoliths using sodium-based carbonate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2025.

  • S. Ruan, X. Zhao, K. Liu, J. Lu, J. Moon, C. Poon, Integral superhydrophobicity in cement matrix via in-situ hierarchical micro-nano roughnes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2025.

  • H. Youm, J. Pae, J. Moon, J. Baek, Y. Lee, D. Kim, Plasma-mediated nano-silica deposition to enhance thermomechanical robustness of carbon textile-reinforced concrete, Developments in the Built Environment, 2025.

  • H. Kang, N. Park, A. Lim, J. Yang, J. Moon, Synergistic effect of bottom ash and silica fume on the hydration performance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Journal of Sustainable Cement-Based Materials, 2025.

  • X. Zhao, M. Cyr, J. Lu, H. Ali, J. Moon, C. Poon, Engineering nanosilica aerogel from waste glass for lightweight insulating concrete, Engineering, 2025.

  • S. Kim, J. Yang, W. Kim, J. Park, C. Poon, J. Moon, Phase development, micro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glycine-activated steel slag under ambient curing conditions,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2025.

  • J. Pae, N. Lee, J. Moon, Influence of amino acids on the properties of carbonated pseudowollastonite composites: Development of a high-reactivity CO₂ sequestration binder,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2025.


2024

  • H. Kang, J. Yang, J. Pae, S. Kim, S. Kang, J. Moon, The impact of mono-ethylene glycol on ordinary Portland cement: Exploring grindability, workability, hydr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2024.

  • H. Hwang, J. Park, J. Moon, S. Kang, S. Hong, Impact of in-situ CO₂ injection on natural and accelerated carbonation performance of aerial lime mortar,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024.

  • J. Park, S. Kim, J. Moon, Substantially enhanced reaction of steel slag binder stimulated by the addition of sodium sulfate and thermal treatment,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2024.

  • Q. Zhai, K. Kurumisawa, H. Manzano, J. Moon, I. Hwang, New insights in the adsorption behavior of triethanolamine on OPC by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study,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024.

  • W. Kim, J. Lee, J. Park, J. Moon, Carbon sequestration in cementitious systems through CO₂-rich hydration and chemically enforced CO₂ mineralization, Journal of CO₂ Utilization, 2024.

  • D. Jeon, J. Moon, NaHCO₃-induced carbonation reaction for enhancing the properties of CaO-activated GGBF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024.

  • J. Pae, W. Kim, J. Moon, Mineral carbonation performance of wollastonite-blended cementitious composites through in-situ CO₂ mixing,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024.

  • J. Lee, A. Lim, J. Kim, J. Moon, Durability study of Portland cement blended with metakaolin from thermodynamic modeling,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2024.


2023

  • S. Jung, H. Kang, S. Kang, J. Moon, Alkanolamine-based chemically enhanced hydration reaction of ordinary Portland cement,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023.

  • J. Yang, D. Jeon, H. Kang, X. Shang, J. Moon, Hydrophobic treatment on hollow glass microspheres for enhancing the flowability of lightweight high-performance cementitious composit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023.

  • W. Park, J. Moon, Machine learning-based reactivity prediction of fly ash F produced from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2023.

  • J. Park, M. Jung, Y. Lee, H. Hwang, S. Hong, J. Moon, Quantified analysis of 2D dispersion of carbon nanotubes in hardened cement composite using confocal Raman microspectroscopy,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023.


2022

  • J. Pae, N. Lee, S. Kim, J. Moon, Effect of casting geometry on distributions of segmented steel fibers in ultra-high performance fiber-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022.

  • D. Jeon, J. Jung, J. Park, J. Min, J. Oh, J. Moon, S. Yoon, Predicting airborne chloride deposition in marine bridge structures using an artificial network model,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022.

  • S. Kang, H. Kang, N. Lee, Y. Kwon, J. Moon, Development of cementless ultra-high performance fly ash composite (UHPFC) using nucleated pozzolanic reaction of low Ca fly ash,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2022.


2021

  • H. Kang, J. Moon, Secondary curing effects on the hydration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021.

  • S. Kang, M. Kwon, Y. Kwon, J. Moon, Effects of polycarboxylate ether (PCE)-based superplasticizer on dissolution and hydration of calcium oxide (CaO),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021.

  • J. Pae, S. Kang, N. Lee, S. Kim, J. Moon, Flow distance induced variation analysis of digitally segmented steel fibers in UHPFRC,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021.


2020

  • M. Jung, S. Hong, J. Moon, Electrically cured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with embedded carbon nanotubes for field casting and crack sensing, Materials & Design, 2020.

  • H. Kang, N. Lee, J. Moon, Elucidation of the hydration reaction of UHPC using the PONKCS method, Materials, 2020.

  • S. Kang, Y. Kwon, J. Moon, Controlling the hydration and carbonation in lime-based materials: Advantage of slow carbonation in CO₂-curable construction material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020.


2019 이전 

  • M. Jackson, J. Oleson, J. Moon, Y. Zhang, H. Chen, M. Gudmundsson, Extreme durability in ancient Roman concretes, American Ceramic Society Bulletin, 2018.

  • J. Moon, S. Kim, S. Bae, S. Clark, Pressure induced anomalous behavior of thaumasite crystal, Journal of the American Ceramic Society, 2020.

  • J. Moon, S. Yoon, R. Wentzcovitch, S. Clark, P. Monteiro, Elastic properties of tricalcium aluminate from high-pressure experiments and first-principles calcula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Ceramic Society, 2012.

  • M. Jackson, S. Chae, S. Mulcahy, C. Meral, R. Taylor, P. Li, A. Emwas, J. Moon, et al., Unlocking the secrets of Al-tobermorite in Roman seawater concrete, American Mineralogist, 2013.

특허 

  • 양징웨이, 강성훈, 문주혁, 발수성 완충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건축물 바닥 구조용 발수성 완충재, 출원 10-2025-0116772.
  • 배준일, 문주혁, 탄산화 처리 회수수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탄산화 처리 회수수, 출원 10-2025-0116773.
  • 배준일, 문주혁, 칼슘 실리케이트 시멘트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출원 10-2025-0116774.
  • 김재균, 문주혁, 제강 슬래그의 탄산화 방법, 출원 10-2025-0127474.
  • 강유경 외, 문주혁, BOE 폐액으로부터 형석을 제조하는 방법, 출원 10-2025-0134750 (미국 특허 출원 중).
  • 문주혁 외, 경량 캐스터블 복합재료, 출원 10-2025-0015437.
  • 문주혁 외, 고알루미나 부정형 내화물 복합재료 개발, 출원 10-2025-0015436.
  • 문주혁 외, 치과용 바이오 세라믹 시멘트의 조성물, 출원 10-2024-0201868.
  • 정성진, 이지훈, 문주혁, 고로슬래그 활성증진용 콜로이달 액상형 자극제 및 이를 이용한 시멘트 혼합물, 출원 10-2024-0190356.
  • 정성진, 이지훈, 문주혁, 압축강도가 개선된 슬래그시멘트 및 이를 함유한 콘크리트 조성물, 출원 10-2024-0190357.
  • 박용석, 신재욱, 강현욱, 임아현, 문주혁, 바텀애시를 함유한 혼합시멘트, 출원 10-2024-0125346.
  • 박지슬, 임아현, 김서현, 문주혁, 제강슬래그용 반응촉진제를 포함한 시멘트 대체재용 제강슬래그 바인더, 출원 10-2024-0100495.
  • 김서현, 문주혁, 제강슬래그용 분쇄 촉매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콘크리트 혼화재, 출원 10-2024-0100494.
  • 문주혁 외, 친환경 반도체 공장 구조물용 고탄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저진동 구조물, 출원 10-2023-0195689.
  • 김원경, 박준범, 문주혁, 알칼리성 수용액을 이용한 콘크리트 광물탄산화 방법, 출원 10-2023-0126597.
  • 김원경, 전동호, 박준범, 문주혁, 콘크리트 광물탄산화 증진용 혼화제 및 방법, 출원 10-2023-0126596 (PCT/KR2024/013861).
  • 강성훈, 문주혁, 콘크리트 내부 이산화탄소 고정화 방법 및 확산 장치, 출원 10-2023-0126595.
  • 문주혁 외, 물시멘트비 측정 장비 및 방법, 등록특허 제10-2781140호 (기술이전 완료).
  • 문주혁 외, 형광물질을 이용한 물시멘트비 측정 방법, 등록특허 제10-2781139호.
  • 문주혁 외, 발수 콘크리트 제작을 위한 소수성 양생 기법, 등록특허 제10-2616171호.
  • 문주혁 외, 시멘트 복합체에 대한 양생 최적화 판단방법, 등록특허 제10-2675956호.
  • 문주혁 외, 식용유를 활용한 진동저감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10-2707907호.
  • 문주혁 외, 탄소나노물질 분산도 정량화 및 비파괴 품질평가 방법, 등록특허 제10-2675954호.
  • 문주혁 외, 내부습도이력을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강도 모니터링 방법 및 진단시스템, 등록특허 제10-2757286호.
  • 문주혁 외, 이산화탄소의 주입이 가능한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 등록특허 제10-2676167호.
  • 문주혁 외, 인공경량골재 및 중공마이크로스피어를 포함한 경량 고강도 시멘트 복합체, 등록특허 제10-2463050호.
  • 문주혁 외, 소각 X선 산란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분산도 정량화 방법, 등록특허 제10-2528011호.
  • 문주혁 외, 3차원 시뮬레이션 기반 콘크리트 내구성 평가 방법, 등록특허 제10-2526669호.
  • 문주혁 외,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등록특허 제10-2075070호 (기술이전 완료).
  • 문주혁, 강성훈, 질소 기체를 이용한 중공 경량 골재의 제조 방법, 등록특허 제10-2049466호.
  • CEC 기술의 LCA 기반 전주기적 탄소발생량 및 환경영향 평가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24.04 ~ 2024.09)

  • 바텀애시 분쇄촉매화를 통한 기존 플라이애시 동등 성능 이상의 SCM 개발 실증 — 한국중부발전(주) (2023.09 ~ 2025.09)

  • 멀티스케일 구조재료실험실 — (다부처) 교육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06 ~ 2023.12)

  • 멀티스케일 기반 기능성 나노소재의 시멘트 복합체 내부 분산성 평가 기법 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03 ~ 2024.02)

  • 나노기술을 활용한 다기능 경량 하이퍼 콘크리트 기술개발 — 국토교통부 (2023 ~ 2023.12)

  • 철도교량 오프사이트 건설을 위한 재료기술 분석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22.10 ~ 2022.12)

  • 1,000t/y급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 제조 및 응용기술 개발(1/1) — 산업통상자원부 (2022.04 ~ 2022.12)

  • 데이터 인프라 구조물을 위한 능동형 파장흡수 구조재료 개발 — 국토교통부 (2022 ~ 2022.12)

  • 토모그래피를 이용한 자기치유 콘크리트의 성능 평가 기술 개발 — 국토교통부 (2022 ~ 2022.12)

  • 2차원 및 3차원 이미지 처리를 통한 시멘트 복합체 내부 탄소섬유와 강섬유 분산도 분석 용역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21.09 ~ 2021.12)

  • 다기능 구조용 중공 파티클 합성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복합체의 단열 성능 평가 — 국토교통부 (2021.04 ~ 2021.12)

  • 마이크로 토모그래피를 활용한 시멘트 복합체내 폐어망 섬유 3차원 분산 측정 및 역학성능 분석 용역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21.02 ~ 2021.08)

  • 바텀애시를 활용한 친환경 해양콘크리트 제조기술 개발 — 한국서부발전(주) (2021.02 ~ 2021.08)

  • 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강섬유 분산성 평가를 위한 마이크로 토모그래피 실험 및 분석 용역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20.05 ~ 2020.08)

  • 해양 플라스틱 함유 시멘트 복합재료의 미세구조 분석 용역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20.04 ~ 2020.06)

  • 건설재료 혁신을 위한 X-선 산란 및 흡수 분광법 기반의 나노수준 고등분석법 정립 및 모델 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03 ~ 2021.02)

  • 차세대 건설가치창조 리더양성 사업단 — 교육부 (2020.03 ~ 2020.08)

  • 실시간 마이크로 토모그래피 분석을 통한 콘크리트균열의 치유성능 평가 — 국토교통부 (2019.04 ~ 2019.08)

  •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코팅제의 부착성능 검토 용역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8.03 ~ 2018.11)

우수 강의상 — 202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 2024.08.21 — 2024 아시아콘크리트엑스포, 13개 컨퍼런스·국내외 바이어 초청 구매상… — 에이빙뉴스

  • 2023.08.09 — 시멘트업계, 탄소배출 산정 가이드라인 개발 추진… 협의체 발족 — 조선비즈

  • 2023.08.09 — “탄소배출 국제표준화 주도해 新환경규제 돌파” — 파이낸셜뉴스

  • 2023.08.09 — 시멘트업계, 탄소배출량 선정 가이드라인 개발·국제 표준화 나서 — 머니투데이방송

  • 2023.08.09 — 시멘트협회, ‘탄소배출 국제표준 협의체’ 발족… 글로벌 규제 선제대응 — 뉴데일리

  • 2023.08.09 — 시멘트업계, 탄소배출량 산정 국제표준 협의체 발족 — 아시아투데이

  • 2023.08.09 — 시멘트업계, ‘탄소배출량 산정 국제표준 협의체’ 발족 — 비즈워크

  • 2023.08.09 — 시멘트업계, 탄소배출 국제표준화 주도해 新환경규제 돌파 — 에너지경제

  • 2023.08.09 — 시멘트업계, 탄소배출량 산정 국제표준 협의체 발족 — 뉴시스

(샘플)

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