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김호경 교수입니다.

저는 서울대학교 건설환경도시공학부에서 교량 및 구조공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저를 만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저의 디지털 쌍둥이를 통해서 만나는 것입니다. A Con 앱으로 가보시면, 대화창이 나옵니다. 그곳에서 문자나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실제 사람으로서 저를 만나는 것입니다. 이 역시 A Con 앱으로 가시면 화상 대화 메뉴가 나옵니다. 화면을 보면서 저와 대화할 수 있습니다.

디니털 쌍둥이가 뭐냐고요?

실제 사람 전문가를 디지털로 그대로 복제한 것을  말합니다.

그 사람의 신원 정보, 개인적인 취향이나 성격, 전문 지식 등을 깊이있게 학습한 인공지능(AI)이 그 사람을 닮은 모습과 지식으로 당신과 대화를 하는 것입니다.

 

저는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에서 포스코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며,
교량과 구조공학을 중심으로 바람, 진동, 데이터, 그리고 인간의 안전을 연결하는 연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석사·박사 과정을 마치고,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확률역학을 주제로 박사후연구를 수행한 후,
현재는 서울대학교에서 부유식인프라연구단(FLORA) 단장과 건설환경종합연구소(ICEE) 소장을 맡고 있습니다.
또한 IABSE(국제교량및구조공학회) 부회장,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
그리고 여러 국제학술지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며
학문과 산업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제 연구는 주로 장대교량의 풍하중 및 진동 거동, 구조물의 건전성 평가(Structural Health Monitoring),
그리고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인텔리전스 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풍동실험과 수치해석, 딥러닝을 결합하여
교량의 안전성 평가와 유지관리, 재난 대응 시스템 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강풍 속 차량 주행 안전성 평가 및 위험도 저감 기술,
부유식 인프라의 구조적 안정성 확보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강의실에서는 구조설계, 구조동역학, 교량공학 등을 가르치며
미래의 엔지니어들이 실무와 학문을 아우를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산업계와의 협력을 통해 산학연계형 연구 및 정책 자문에도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외 다수의 학회에서 초청강연을 통해 한국 구조공학의 성과를 세계와 공유하고 있습니다.

궁금하신 것, 알려주고 싶은 것, 무엇이든 좋으니 저와 대화해 주세요~

연구실 홈페이지

https://bridge.snu.ac.kr/professor/

학사: 서울대학교 토목공학과 (1982.03 ~ 1986.02)

석사: 서울대학교 토목공학과 구조공학전공 (1986.03 ~ 1988.02)

      • 지도교수: 장성필 교수

박사: 서울대학교 토목공학과 구조공학전공 (1988.03 ~ 1993.02)

      • 지도교수: 장성필 교수

박사후연구원: 미국 남캘리포니아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1998.07 ~ 2000.07)

      • 연구분야: 확률역학 (지도교수: Masanobu Shinozuka 교수)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 포스코석좌교수 (2017.03 ~ 현재)

  • 건설환경종합연구소 소장 (2022.03 ~ 현재)

  • 부유식인프라연구단(FLORA) 단장 (2023.04 ~ 현재)

  • 산업안전최고전략과정(AIS) 주임교수 (2025.01 ~ 현재)

  • 공과대학 인사위원회 위원 (2023.11 ~ 현재)

  • 건설환경공학부 학부장 (2016.03 ~ 2018.02)

  •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2009.03 ~ 현재)

  • 국가지원연구센터 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 단장 (2017.09 ~ 2022.02)

  • BK21PLUS 차세대건설가치창조리더양성사업단 단장 (2016.09 ~ 2018.02)

  • 극한성능실험센터 센터장 (2013.12 ~ 2015.01)

  • 공학연구원 교량신기술연구센터 센터장 (2014.03 ~ 현재)

  • 공과대학 기획위원회 위원 (2014.09 ~ 2015.02, 2019.03 ~ 현재)

  • 산업안전최고전략과정 운영위원 (2020.03 ~ 현재)

  • 차세대건설리더아카데미 운영위원 (2013.12 ~ 현재)

  • 공학연구소 특별연구원 (1993.03 ~ 1995.02)


목포대학교 (Mokpo National University)

  • 내풍기술연구단 단장 (2005.06 ~ 2009.02)

  •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교수 (1995.03 ~ 2009.02)


해외 경력 (International Experience)

  • 방문학자, Florida A&M University – Florida State University, 미국 (2015.01 ~ 2016.02)

  • 박사후연구원,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미국 (1998.07 ~ 2000.07)


국제저널 편집위원 (Editorial Board in International Journals)

  • Editor-in-Chief,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Springer, SCIE) (2014.01 ~ 2019.12)

  • Advisory Editor, Journal of Structure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Taylor & Francis, SCIE) (2018.02 ~ 현재)

  • Associate Editor, Journal of Civil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pringer, SCIE) (2014.04 ~ 현재)

  • Associate Editor, Bridge Engineering Section, Frontiers in Built Environment (2014.11 ~ 현재)

  • Associate Editor, International Journal of Steel Structures (Springer, SCIE)

  • Guest Editor,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Special Issue: “Load Rating and Assessment of Bridges” (2013.04)

  • Correspondent, Structural Engineering International (IABSE) (2008.03 ~ 2019.12)


국제학회 및 위원회 활동 (Executive Committees & Board Memberships)

  • Vice President, IABSE (2021.11 ~ 현재)

  • Chairman, Korean Group of IABSE (2018.01 ~ 현재)

  • Chairman, Korea Panel of IASCM (2018.02 ~ 현재)

  • Member, Board of Director, IASCM (2018.02 ~ 현재)

  • Fellow Member, IABSE (2017.01 ~ 현재)

  • Chair, TC-18, ACECC (Long Span Bridges SOPs)

  • Member, IABMAS Load Testing Committee (2021.06 ~ 현재)

  • Asia-Oceania Regional Coordinator, IAWE (2022.07 ~ 2025.08)


국제학술대회 조직 및 위원회 (International Conference Committees)

  • Chair, Organizing Committee, IABSE Congress Incheon 2026 (Incheon, Korea)

  • Vice-Chair, Scientific Committee, IABMAS 2026 (Orlando, USA)

  • Member, Scientific Committee, APCWE10 (Chengdu, 2025)

  • Member, Scientific Committee, IABSE Congress Ghent 2025 (Belgium)

  • Member, Scientific Committee, IABSE Symposium Tokyo 2025 (Japan)

  • Member, Scientific Committee, APSSRA 2024 (Ulsan, Korea)

  • Chair, Organizing Committee, IABSE YEC 2023 (Seoul, Korea)

  • Member, International Scientific Committee, 9IWSCM (ETH Zurich, 2024)

  • Member, International Scientific Committee, ISFA 2024 (Shanghai, China)

  • Member, Scientific Committee, BBAAIX (Birmingham, UK, 2024)

  • Co-Chair, Scientific Committee, IABMAS 2024 (Copenhagen, Denmark)

  • Member, Advisory Committee, HKWES Workshop (2023)

  • Member, Steering Committee, IALCCE (2023)

  • Member, Scientific Committee, IABSE Congress Nanjing 2022

  • Co-Chair, Scientific Committee, IABMAS 2022 (Barcelona, Spain)

  • Member, Scientific Committee, IABSE Congress Ghent 2021

  • Chair, Scientific Committee, IABSE Seoul 2020

  • Chair, Local Organizing Committee, ISSS 2017 (Jeju, Korea)

  • Co-Chair, International Scientific Committee, IABMAS 2020 (Sapporo, Japan)

  • Vice-Chair, Local Organizing Committee, ISSS 2013 (Jeju, Korea)

  • Member, Scientific Committee, IABMAS, IABSE, SHMII, APCWE 등 다수 (2011~2024)


학회 리더십 및 주요 직책 (Leadership in Academic Societies)

  • 정회원, 한국공학한림원 (NAEK) (2023.01 ~ 현재)

  • 위원장, 대한토목학회 건설정책포럼위원회 (2024.01 ~ 2024.12)

  • 위원장, 대한토목학회 공학교육개혁위원회 (2021.01 ~ 2023.12)

  • 위원장, 대한토목학회 구조위원회 (2021.01 ~ 2022.12)

  • 센터장, 대한토목학회 미래비전원 1센터 (2020.01 ~ 현재)

  • 부회장, 대한토목학회 (2017.01 ~ 2018.12)

  • 부회장, 한국강구조학회 (2017.06 ~ 2019.05)

  • 부회장, 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 (2018.02 ~ 현재)

  • 부회장, 한국풍공학회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기술 자문 및 대외 활동 (Professional & Public Services)

  • 전문회원, 제22대 국회 철강포럼 (2024.06.25 ~ 현재)

  • 위원, 전라남도 이순신대교 기술자문위원회 (2023.08.08 ~ 2024.05.04)

  • 위원, MBC 재난자문위원회 (2023.07.04 ~ 현재)

  • 위원, 전라남도 연도교 설계 자문위원회 (2022.09 ~ 2023.02)

  • 회장, 도로인프라얼라이언스 (2022.04.01 ~ 현재)

  • 위원장, 국가건설기준센터 교량기준위원회 (2021.01.01 ~ 현재)

  • 위원, 서울시설공단 청담1교 안전대책 자문위원회 (2020.09.25 ~ 완료)

  • 위원, 국토교통부 건설사고조사위원회 (2019.01.01 ~ 2020.12.31)

  • 위원, 한국시설안전공단 기술자문위원회 토목구조분과 (2017.08.10 ~ 2019.08.09)

  • 위원, 한국도로공사 기술자문위원 (2016.01.01 ~ 2019.12.31)

  • 위원, 국민안전처 풍수해저감종합계획 검토위원 (2017.01.01 ~ 2018.12.31)

학부 강의

  • Design of structures (LRFD for steel members, Connections) 구조설계공학
  • Planning of Structure Systems (Principles of structural planning, Design loads and combinations, Design of slab-on-stringer bridges) 구조시스템계획
  • Dynamics of Civil Engineering System (Single DOF, Multi DOF, Mode superposition method) 건설시스템동역학

대학원 강의

  • Advanced Structural Analysis (Direct stiffness formulation, Nonlinear analysis, Cable structures, Stability) 고급구조해석
  • Advanced Dynamics of Structures (Complex eigenvalue analysis, Operational modal analysis, Boundary layer wind velocity, Wind tunnel tests, Aeroelastic analysis) 고급구조진동론
  • Advanced Bridge Engineering (LRFD for plate girder bridges, Cable-supported bridges, Condition assessment) 고급교량공학
 

외부 강의

  •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Cable-supported bride alive – wind and vibration”, Advanced Industrial Safety Strategy Program (AIS), 2025. 03. 11, 서울대학교 산업안전최고전략과정, “살아움직이는 케이블 교량 – 바람과 진동
  • 전라남도 해상교량산업 발전방안 정책 개발을 위한 토론회, “해상교량기술 발전 및 미래상에 대한 발제”, 2023.10.17, 전라남도의회
  •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Cable-supported bride alive – wind and vibration”, Advanced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Program (ACPMP), 2023. 10.10, 서울대학교 건설산업최고전략과정 “살아 움직이는 케이블 교량 – 바람과 진동”
  • 명지대학교 스마트사회인프라유지관리학과 워크숍, “살아 움직이는 케이블 교량 – 바람과 진동”, 2023.8.18, 곤지암리조트
  • 2022 지역건설 상생을 위한 정보공유 워크숍, “해양 횡단의 다변화와 미래 초연결 인프라 실현 – 5K Bridge 기술로드맵”, 2022.10.06,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전라남도 및 대한토목학회 광주전남지회
  • 2022 Smart Construction Expo 스마트건설Expo, “Advanced Material-Based Floating Structure Technology for R&D 신소재기반 부유식 구조체 기술개발”, 2022.09.01
  • 30th Forum on Construction Policy, Gwangju, Korea, “Future Civil Engineering Education at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2021.10.21
  • GS E&C Invited Seminar, “5K Bridge Technical Roadmap”, 2022.07.07
  • KIBSE Seminar-Technology Sharing Talk 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 기술나눔톡, “Can we allow vortex-induced vibration of a cable-stayed bridge deck up to vibrational serviceability criteria? 사장교 설계시 와류진동을 진동사용성 기준까지 허용해도 되나?”, 2022.05.19 https://www.kibse.or.kr/boards/notice/27667/detail/publication/review/?paginate_by=10&page=2
  • Junho Song, Ho-Kyung Kim “Analysis of Reliability-Redundancy Trade-off for Fire Resilience of Cable Bridges”, Virtual Workshop on Redundancy in Bridges for Risk Mitigation in a Multi-Hazard Environment, New York, USA, 2020.07.21.,
  • Zhejiang University, Hangzhou, China, “Probabilistic stability evaluation of vehicles under strong winds for bridge traffic control” 2020.01.13
  • Hohai University, Nanjing, China, “Value of Monitoring Data for Long-Span Bridge Operation – Aerodynamic Point of View”  2018.10.26.
  • Southwest Jiaotong University, Chengdu, China, “Value of Monitoring Data for Long-Span Bridge Operation – Aerodynamic Point of View” 2018.07.26.
  • Dalian University of Technology, Dalian, China, “What we have learned from operational monitoring of wind-induced vibration of cable-supported bridges”  2016.10.08.
  • Florida A&M-Florida State University, Tallahassee, FL USA, “Operational Monitoring and Mitigation of Wind-Induced Vibration in a Twin Cable-Stayed Bridge”,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Seminar Series, 2015.10.09.
  • U.C. Irvine, CA USA, “Stabilizing measures during construction – Case study for the Mokpo Bridge”, Invited Seminar at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2009.08.14.
  • KAIST, Daejeon, Korea, “Long-Span Bridge & Aerodynamics”, APSS Invited Lecture, 2013.08.06.
  •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Cable-supported bride alive – wind and vibration”, Advanced Industrial Safety Strategy Program (AIS), 2021. 04. 05, 2020. 04. 06, 2019. 04. 22, 2018.04.30, 2017.04.20, 2016.05.31 서울대학교 산업안전최고전략과정, “살아움직이는 케이블 교량 – 바람과 진동”
  •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Cable-supported bride alive – wind and vibration”, Advanced Industrial Strategy Program (AIP), 2016. 04.20, 서울대학교 최고산업전략과정 “살아 움직이는 케이블 교량 – 바람과 진동”
  •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Long-Span Bridge & Aerodynamics”, The 12th Next Generation Construction Leader Academy, 2014.01.16.
  •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Technology development for long-span bridges in coastal area”, Advanced Industrial Safety Strategy Program (AIS), 2012.04.03, 2011.04.28, 서울대학교 산업안전최고전략과정“연안지역 장대교량 대응기술 개발”
  • Inha University, Korea, “Super long-span bridges: Realization of 2,800m suspension bridge sustainable for 200 years”, 2012.06.05, 인하대학교, “초장대교량: 200년 지속가능한 2,800m 현수교의 실현”
  •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Exciting power of mega bridges – Wind”, 2016.10.12. 국립기상연구원 전문가초청세미나, “거대교량을 움직이는 힘-바람”
  •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Development of wind-resistance technology for long-span bridges in coastal area”, 2011.02.11, 국립기상연구소 연안재해전문가세미나, “연안지역 강풍에 따른 장대교량 대응기술 개발” 
  •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Aerodynamic stability of the Goduck cable-stayed bridge during construction”, 2018.04.24, 한국도로공사 서울-세종 고속도로 안성-구리 건설공사(제14공구)현장, “고덕대교 가설계 풍동실험 결과 및 제진 대책”
  • Namgang High School, “Role of professor in civil engineering”, 2016.05.30. 남강고등학교 진로체험의 날, “건설공학 교수의 역할”
  • The 2nd Hyundai E&C International Seminar on Super Long-Span Bridges, “Limit State Design Guidelines for Long-Span Cable-Supported Bridges”, 2012.08.30.
  • GS E&C, “Wind engineering technology for sea-crossing bridges”, 2011.05.25, GS건설 기술연구소, “해상특수교량 내풍기술” 
  • Hyundai E&C, “Aerodynamic design of long-span bridges and recent applications”, 2010.11.24, 현대건설․한국경제 기술대전, “장대교량 동적내풍설계와 최근 적용 사례”
2025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 강풍에 대한 교량상 차량 주행안전성 평가 및 위험도 저감방안 수립 — 2022, 서울대학교 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

  • IABSE Conference, Seoul 2020 – Risk Intelligence of Infrastructures — 2020, IABSE

  • 자연과 문명의 조화 토목공학 — 2018, 씨아이알

  • (자연과 문명의 조화) 토목공학 — 2015, 씨아이알 (대한민국)

  • Load Rating and Assessment of Bridges — 2012, Korean Group of IABSE (서울)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 2012, 한국도로교통협회 (서울)

  • 도로교설계기준 — 2010, 한국도로교통협회 (한국)

  • 장대교량용 케이블 소재 적용 지침 — 2008, 대한토목학회 (대한민국)

  • 장대교량과 고층건물의 내진·내풍설계 — 2008, 사단법인 한국지진공학회 (대한민국)

  • 도로교설계기준·해설집 — 2008, 대한토목학회·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 (대한민국)

  • 장대교량 정동적 내풍설계 기법 — 2007, 내풍기술연구단

  • 현수교 구성 특수 구조재의 설계요령 — 2007, 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

  • 케이블강교량설계지침 — 2006, 대한토목학회

  • 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 Proto-Design 1 — 2006, 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

  • Proceeding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Sea-Crossing Long-Span Bridges — 2006, The Korean Group of IABSE

  • 케이블강교량설계지침(안) — 2006, 대한토목학회

  • 도로교설계기준 2005 — 2005, 한국도로교통협회

  • 케이블교량의 해석 및 설계 — 2003, 한국전산구조공학회

  • 도로교설계기준 해설(공통 강교 콘크리트교) — 2003, 기문당

  • 모형 시험체의 정상진동상태를 유도할 수 있는 정상가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풍동시험장치 — 1020140124522 (2014.09)
  • ATS 보상 알고리즘을 활용한 풍속 보상 방식의 능동 난류 생성 시스템 및 능동 난류 생성 방법 — 1020240149723 (2024.10)
  • 풍속풍향 데이터를 활용한 강풍에 대한 교량 주행위험등급 평가 시스템 및 방법 — 1020200078028 (2020.06)

  • 리니어 모터 이용 실시간 거동 모사기능을 가지는 모형시험체의 지지장치를 구비한 풍동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동시험방법 — 1020200047146 (2020.04)

  • 강풍시 교량상 차량의 주행안전성 확보 시스템 및 방법 — 1020200023764 (2020.02)

  • 풍동시험용 모형시험체의 풍각 조절을 위한 수평회전지그를 구비한 모형시험체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풍동시험장치 — 1020190048853 (2019.04)

  • 감쇠비의 정밀 조정이 용이한 비접촉 마그네틱 댐핑구조를 가지는 풍동시험용 모형시험체의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풍동시험장치 — 1020180064816 (2018.06)

  • 풍동 시험체의 강제 가진장치 — 10-2010-0067571 (2010.07)

  • 권양기 핸들 시건 장치 — 029695 (1997.08)

  • 권양기 핸들 시건장치 — 10-1997-0040102 (1997.08)

  • (R&D) 인공지능 기반의 출렁다리 스마트 안전진단 및 관리 기술개발 중 돌풍하중 예측 및 검증 기법 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2024.07 ~ 2024.11)

  • 의암 호수변 전망 출렁다리 조성사업 풍동실험 용역(변경반영) — 지방자치단체 (2024.06 ~ 2024.08)

  • 의암 호수변 전망 출렁다리 조성사업 풍동실험연구 — 지방자치단체 (2023.02 ~ 2023.08)

  • 한탄강 경관교량 및 전망대 설치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가람누리 풍동실험) — 지방자치단체 (2022.09 ~ 2023.03)

  • (직업교육훈련과정) 산업안전최고전략과정 (18기)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22.03 ~ 2023.03)

  • 센싱데이터 결함에 강인한 케이블교량의 감쇠비 추정 기법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03 ~ 2023.02)

  • 청량산 명승둘레길 조성사업 인허가 및 설계용역 중 데크 2차원 풍동실험 및 공탄성 해석 — 지방자치단체 (2021.07 ~ 2022.06)

  • 도덕산 시설개발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Y자형 출렁다리) 2차원 풍동실험 — 지방자치단체 (2021.05 ~ 2021.09)

  • (직업교육훈련과정) 산업안전최고전략과정 (17기)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21.03 ~ 2022.03)

  • 재난에 대한 케이블교량 위험도 평가 및 레질리언스 확보 기술 개발 — 국토교통부 (2021 ~ 2021.11)

  • 중소 노후교량 장수명화 요소기술 실증 및 최적화 연구 — 국토교통부 (2021 ~ 2021.12)

  • 신소재 기반 하이브리드 5K Bridge 기술개발 사전기획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20.10 ~ 2021.10)

  • 산업안전최고전략과정 (16기)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20.03 ~ 2021.03)

  • 차세대 건설가치창조 리더양성 사업단 — 교육부 (2020.03 ~ 2020.08)

  • 실측 자료를 활용한 서해대교 재해석 및 재난 대응을 위한 손상 영향 평가 연구 용역 — 한국도로공사 (2020.02 ~ 2020.12)

  • 재난·재해에 대한 케이블교량 위험도 평가 및 레질리언스 확보 기술 개발 — 국토교통부 (2020 ~ 2020.12)

  • 대왕암 출렁다리 내풍성 평가 — 지방자치단체 (2019.12 ~ 2020.08)

  • 간현관광지 보도현수교 2차원 풍동실험 및 버페팅해석 연구 — 지방자치단체 (2019.09 ~ 2019.12)

  • 상기계측데이터의 비정상성을 고려한 공용 중 유연구조물의 실시간 감쇠비 추정기법 개발 및 확률모델 구축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03 ~ 2020.02)

  • 내부순환도로 PSC박스거더교 긴장재 정밀조사 및 모니터링 학술용역 — 서울시설공단 (2017.12 ~ 2020.12)

  • 철도교량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집필(2차)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17.04 ~ 2017.12)

  • 극한상태 구조특성 실험시설 구축(5차년도) — 국토교통부 (2017.02 ~ 2018.06)

  • 마장호수 흔들다리 도보재하 진동시험 및 구조성능 검토 — 파주시청 (2017 ~ 2017.02)

  • 철도교량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집필(1차)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16.10 ~ 2017.02)

  • 서울~세종 고속도로(제14공구) 실시설계 중 풍동실험 연구 — 한국도로공사 (2016.09 ~ 2016.12)

  • 극한상태 구조특성 실험시설 구축(4차년도) — 국토교통부 (2016.08 ~ 2017.02)

  • 서울시 관내 PSC박스거더교 긴장재 유지관리 — 서울시설공단 (2016.06 ~ 2017.06)

  • 양재~기흥간 방음벽 이상 진동에 영향을 주는 차량풍 검토 기술자문 용역 — 한국도로공사 (2016.06 ~ 2016.07)

  • 극한상태 구조특성 실험시설 구축 — 국토교통부 (2015.08 ~ 2016.08)

  • 초장대교량사업단 핵심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 — 국토교통부 (2015.03 ~ 2015.12)

  • 케이블교량 성능 최적화 기술 과제 기획 — 국토교통부 (2014.12 ~ 2015.08)

  • 초장대교량사업단 핵심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 — 국토교통부 (2014.03 ~ 2015.03)

  • 초장대교량사업단 핵심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6-6년차) — 국토해양부 (2013.03 ~ 2014.03)

  • 초장대교량사업단 핵심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6-5년차) — 국토해양부 (2012.03 ~ 2013.03)

  • 초장대교량사업단 핵심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6-4년차) — 국토해양부 (2011.03 ~ 2012.03)

  • 초장대교량사업단 2차년도 이월금 핵심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6-3년차) — 국토해양부 (2010.04 ~ 2011.03)

  • 초장대교량사업단 핵심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6-3년차) — 국토해양부 (2010.04 ~ 2011.03)

  • 초장대교량사업단 핵심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6-2년차) — 국토해양부 (2009.08 ~ 2010.04)

  • 초장대교량사업단 핵심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6-1년차) — 국토해양부 (2009.05 ~ 2009.08)

  • 풍환경모델 및 내풍기술 개발(3차) —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7.08 ~ 2008.06)

  • 계측데이터를 이용한 케이블교량의 장기거동 분석기법 개발용역(2차) —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2007.02 ~ 2007.12)

  • 계측데이터를 이용한 케이블교량의 장기거동 분석기법 개발용역(1차) —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2006.08 ~ 2006.12)

  • 풍환경모델 및 내풍기술 개발(내풍기술연구단) —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6.08 ~ 2007.08)

  • 풍환경모델 및 내풍기술개발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5.07 ~ 2006.08)

  • 사장교 가설 중 버페팅 제진을 위한 FE 해석기법 연구 — 한국학술진흥재단 (2004.12 ~ 2005.11)

  • 콘크리트 방호벽 및 가드레일 지주의 구조해석 부문 연구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2.07 ~ 2002.12)

 
 
  • Citation, Seoul Facilities Corporation, 2025.08.29, 감사장(도로인프라얼라이언스), 서울시설공단
  • 2023 Outstanding Engineering Professor Award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Category), College of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2023 훌륭한공대교수상 (산학협력부문),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 Paper Award(Commendation-Korea), The 4th IABSE Young Engineers Colloquium East Asia 2024, (Soomin Kim, Youchan Hwang, Jeong-Gon Kim, Chungkuk Jin, Ho-Kyung Kim)
  • Best paper awar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24 대한토목학회 우수논문상 (김정곤, 김호경, 이해성)
  • Best paper awar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24 대한토목학회 우수논문상 (황유찬, 김수민, 김정곤, 김호경)
  • Best paper awar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24 대한토목학회 우수논문상 (Max, 김수민, 김호경)
  • Best Young Engineer Award, Korean Institute of Bridge and Structural Engineers, 2024 KIBSE 최우수 영엔지니어 논문상 (김수민, 황유찬, 김정곤, 진충국, 김호경)
  • Best paper award,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024 한국강구조학회 우수학술발표상 (김정곤, 김호경, 이해성)
  • Academic award,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2024 한국풍공학회 학회상 (김수민, 황유찬, 김정곤, 진충국, 김호경)
  • Best paper award, Korean Institute of Bridge and Structural Engineers, 2023 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 우수논문상 (김수민, 김정곤, 진충국, 김호경)
  • Award of editorial excellence, Journal of Civil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2022
  • Distinguished Achievement Award, Steel Tubes and Pipes Committee, Korea Iron & Steel Association, 2022 한국철강협회 강관협의회 공로상
  • Best paper award,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022 한국강구조학회 우수학술발표상 (김수민, 김정곤, 김호경)
  • Best paper awar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22 대한토목학회 우수논문상 (황도연, 김선중, 김호경)
  • Best paper awar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21 대한토목학회 우수논문상 (안이삭, 박연철, 김호경)
  • Best paper awar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21 대한토목학회 우수논문상 (이상현, 안이삭, 박연철, 김호경)
  • Best Young Engineer Award, Korean Institute of Bridge and Structural Engineers, 2020 KIBSE 영엔지니어 논문상 (안이삭, 이상현, 박연철, 김호경)
  • Best paper awar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20 대한토목학회 우수논문상 (안이삭, 이상현, 박연철, 김호경)
  • Best paper awar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20 대한토목학회 우수논문상 (황유찬, 심재홍, 권오성, 김호경)
  • Scholastic Achievement Awar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19 대한토목학회 학술상
  • Achievement Award,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018 한국강구조학회 공로상
  • Achievement Awar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18 대한토목학회 공로상
  • Outstanding Structure Award, Korean Institute of Bridge and Structural Engineers, 2018 KIBSE 우수구조물상 은상
  • Scholastic Achievement Award,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014 한국강구조학회 학술상
  • Best Lecturer Award, School of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서울대학교 공대 우수강의 교수상
  • President Awar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10 대한토목학회장 표창
  • Grand Prize, Technical Research Award, KLD, 2008 대한민국 건설기술상 기술연구부문 대상
  • Best Researcher Award,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 2007 건설교통부장관 우수연구자 표창
  • Best Paper Awar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05 대한토목학회 논문상
  • KBS Life 119: 국민든든채널, “메이데이!메이데이!” 급박했던 볼티모어 다리 붕괴 순간의 재구성 우리나라도 비슷한 사례가 있었을까? 2024.04.03
  • 씨리얼이 만난 교수님: 구조공학-김호경 교수님편 2021.01.08
  • 주니어김영사 ‘내 꿈을 잇는 다리 이순신대교’ 멘토 2013.11.28
  • 동아사이언스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 9편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김호경교수 편 출연 2013.11.14
  • 좋은책신사고 고등학교 수학교과서 기하와 벡터 단원 삽입 글 ‘현수교 설계와 포물선’ 기고 2013.03.20
  • 월간 과학쟁이 특집기사 ‘거대 구조물, 다리의 비밀’ 2013.01.01
  • EBS 다큐프라임 ‘바람을 향한 인류의 진화 목포대교’ 2011.11.16
  • EBS Wonderful Science ‘한국형 대교, 세계를 잇다’ 2011.01.20
  • 어린이 과학동아 특집기사 ‘위풍당당 슈퍼 다리가 온다’ 2009.11.01
  • Online Lecture, Structural Vibration and Bridge Aerodynamics, KENCA(Korea Engineering & Consulting Association) 엔지니어링협회 온라인강좌 ‘구조진동 및 교량의 내풍해석(총 10회)’ 2008.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