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유기윤 교수입니다.

저는 서울대학교 건설환경도시공학부에서 도시의 정보시스템 설계와 개발을 전공으로 하고 있습니다.

저를 만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저의 디지털 쌍둥이를 통해서 만나는 것입니다. A Con 앱으로 가보시면, 대화창이 나옵니다. 그곳에서 문자나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실제 사람으로서 저를 만나는 것입니다. 이 역시 A Con 앱으로 가시면 화상 대화 메뉴가 나옵니다. 화면을 보면서 저와 대화할 수 있습니다.

디니털 쌍둥이가 뭐냐고요?

실제 사람 전문가를 디지털로 그대로 복제한 것을  말합니다.

그 사람의 신원 정보, 개인적인 취향이나 성격, 전문 지식 등을 깊이있게 학습한 인공지능(AI)이 그 사람을 닮은 모습과 지식으로 당신과 대화를 하는 것입니다.

스마트 시티 아시나요?

저는 우리가 사는 도시가 더욱 스마트해지도록 정보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주 전공으로 합니다. 토지정보시스템, 도로정보시스템, 위성정보시스템 같은 것들 말입니다. 요즘에는 부동산용 AI시스템을 개발합니다.

원래는 고시에 합격해 건설교통부에서 근무했었습니다.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그 후부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에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몇 년 전에는 ‘2050 미래사회보고서’라는 책도 썼죠. 덕분에 매일경제 1면에 소개 기사가 났고 많은 분들의 관심을 받았습니다. 최근에는 기술을 이용해 세상에 변화를 주고자 스타트업을 창업해 운영 중입니다.

저는 공학을 좋아합니다. 그것도 아주 아주 좋아합니다. 공학적 사고방식, 무언가를 새로 만드는 것, 세상이 빠르게 바뀌는 것.. 이런 것들이 저에게 날마다 새로운 즐거움을 제공합니다.

궁금하신 것, 알려주고 싶은 것, 무엇이든 좋으니 저와 대화해 주세요~

 

연구실 홈페이지 https://gislbs.net/

블로그 https://blog.naver.com/kiyunyu2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kiyunyu2/

1998  박사, 위스콘신주립대학교 (Ph.D.,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1990  석사, 연세대학교 (Master of Science, Yonsei University)

1987  학부, 연세대학교 (Bachelor of Science, Yonsei University)

1983  효명고등학교 (Hyo-Myung High School)

1980  효명중학교 (Hyo-Myung Middle School)

1977  송신초등학교 (Song-Shin Primary School)

현재  서울대학교 건설환경도시공학부 교수

현재  서울대학교 GIS/LBS 연구그룹장

현재  서울대학교 iCITY 연구센터장

현재  주식회사 닉신디케이트 대표이사

2020  대한공간정보학회 회장

2019 제27대 국토지리정보원 원장

2012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대외부학장

2000  건설교통부 도시국, 국토정책국, 토지국 사무관, 서기관

1987  제23회 기술고등고시 수석 합격

2025, Reinforcement Learning for Constraint-Aware Knowledge Base Question Answering, IEEE ACCESS, 2025-09, 공동(교신)

2025, Cognition-enhanced geospatial decision framework integrating fuzzy FCA, surprisingly popular method, and a large language model, SCIENTIFIC REPORTS, 2025-07, 공동(교신)

2025, FGB-OPRAm: Integrating Fuzzy Granular-Ball and OPRAm for Spatial Query Answering in Uncertain Environments,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025-06, 공동(교신)

2024, 속성 그래프 기반 그래프 데이터베이스에서의 공간 연산자 구현 방안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공동(교신)

2024, SGIR-Tree: Integrating R-Tree Spatial Indexing as Subgraphs in Graph Database Management Systems,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2024-10, 공동참여

2024, Schema Retrieval for Korean Geographic Knowledge Base Question Answering Using Few-Shot Prompting,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2024-12, 공동(교신)

2024, Generating Spatial Knowledge Graphs with 2D Indoor Floorplan Data: A Case Study on the Jeonju Express Bus Terminal,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2024-02, 공동참여

2023,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공간 데이터 통합 방안 연구: 부동산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023-09, 공동(교신)

2023, Enhancing Knowledge Graphs with 3D Indoor Spatial Data: A Case Study on the Jeonju Express Bus Terminal,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2023-12, 공동참여

2023, Geographic Knowledge Base Question Answering on OpenStreetMap,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2023-12, 공동(교신)

2023, GeoKBQA에서의 Entity Linking: BERT, RoBERTa 그리고 ChatGPT를 활용한 Mention Detection, 한국측량학회지, 2023-12, 공동(교신)

2023, GeoQA를 위한 자연어-쿼리 데이터셋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2023-10, 공동(교신)

2023,Managing 3D GIS data for indoor environment using property graph database,IEEE ACCESS,2023-04,공동참여

2023,Analyzing Geographic Questions Using Embedding-based Topic Modeling,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2023-02,공동(교신)

2022,그래프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이용한 효율적 부동산 빅데이터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한국지리정보학회지,2022-12,공동(교신)

2022,효율적인 공간분석질의 수행을 위한 한국형 공간지식그래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대상으로,대한공간정보학회지,2022-12,공동(교신)

2022,실제 질문을 이용한 공간 관련 사실 기반 질문-SPARQL 데이터셋 구축 파이프라인 제안,한국측량학회지,2022-12,공동(교신)

2022,A Pipeline to Construct a Real-World Question and GeoSPARQL Query Dataset for Geo-Analytical Question Answering over OpenStreetMap Data,한국측량학회지,2022-12,공동(교신)

2022,다양한 문장형태에 대한 지리공간 분석절차 분류 연구,한국측량학회지,2022-12,공동(교신)

2022,속성 그래프 및 GraphQL을 활용한 지식기반 공간 쿼리 시스템 설계,한국측량학회지,2022-10,공동(교신)

2021,Automatic Extraction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from Floor Plan Image: A Patch-Based Deep Learning Methodology Application on Large-Scale Complex Buildings,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cs,2021-12,공동(교신)

2021,Public Bike Trip Purpose Inference Using Point-of-Interest Data,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2021-05,공동참여

2021,Framework for Indoor Elements Classification Via Inductive Learning on Floor Plan Graphs,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2021-02,공동(교신)

2021,Deep Floor Plan Analysis for Complicated Drawings Based on Style Transfer,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2021-03,공동(교신)

2020,Data Model for IndoorGML Extension to Support Indoor Navigation of People with Mobility Disabilities,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2020-01,공동참여

2020,Indoor Reconstruction from Floorplan Images with a Deep Learning Approach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2020-01,공동참여

2019,단어 임베딩과 어텐션 기반의 딥러닝 모델을 활용한 장소정보 탐지 기법,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2019-09,공동참여

2019,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초등학생 돌봄시설의 최적입지 선정,지적과 국토정보,2019-01,공동참여

2019,SNS 데이터를 이용한 공공시설 매력도지수에 따른 접근성 분석 기법,한국측량학회지,2019-03,공동참여

2018,건물 대피안내도를 활용한 실내 네트워크 구축 기법 연구,한국방재학회지,2018-12,공동참여

2018,KeyplayerRank를 이용한 SNS상의 주제별 키플레이어 탐지기법,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2018-12,공동참여

2018,A Method for Text Information Separation from Floorplan Using SIFT Descriptor,대한원격탐사학회지,2018-08,공동참여

2018,순환신경망과 데이터 증강을 이용한 재난정보 탐지방법,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2018-12,공동참여

2018,A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approach for geometric matching of areal objects,Transactions in GIS,2018-02,공동참여

2017,비정형 데이터를 이용한 층간소음 탐지: 네이버 카페를 대상으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2017-06,공동참여

2017,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of Buildings for Map Generalization,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2017-10,공동(교신)

2017,Locating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in a Complicated Urban Environment Considering a Pedestrian-Accessible Network that Focuses o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s,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2017-02,공동참여

2016,길찾기 과정의 도로명주소 체계 연계를 위한 선형 객체 매칭 방법,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2016-12,공동(교신)

2016,그래프 데이터 모델을 활용한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장소 정보 구축을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구현,지적과 국토정보,2016-06,공동(교신)

2016,A Cluster Analysis for Housing Submarkets Considering Spatial Autocorrelation,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2016-06,공동참여

2016,A Mobile Object Tracking Scheme by Wired/wireless Integrated Street Lights with RFID,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2016-06,공동참여

2016,Reduction of GPS Latency Using RTK GPS/GNSS Correction and Map Matching in a Car NavigationSystem,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2016-06,공동참여

2016,공간적 자기상관성의 정도에 따른 MAUP에서의 스케일 효과 연구- LBSNS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2016-03,공동참여

2016,Establishing the process of spatial informatization using data from social network services,한국측량학회지,2016-04,공동참여

2016,Detecting Corresponding Vertex Pairs between Planar Tessellation Datasets with Agglomerative Hierarchical Cell-Set Matching,PLOS ONE,2016-01,공동참여

2016,Detecting Themed Streets Using a Location Based Service Application,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2016-07,공동참여

2016,An Improved Map-Matching Technique Based on the Frechet Distance Approach for Pedestrian Navigation Services,SENSORS,2016-10,공동참여

2016,Method for Determining Appropriate Clustering Criteria of Location-Sensing Data,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2016-08,공동참여

2016,A study of optimal location and allocation to improve accessibility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한국측량학회지,2016-06,공동참여

2016,A selection of high pedestrian accident zones using traffic accident data and GIS: A case study of Seoul,한국측량학회지,2016-06,공동(교신)

2016,Optimized path finding algorithm for walking convenience of the people with reduced mobility,한국측량학회지,2016-06,공동참여

2016,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mantic search for POI utilizing collective intelligence,한국측량학회지,2016-06,공동(교신)

2015,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응급의료서비스 권역 재조정 방안-대전광역시 사례 연구,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2015-09,공동참여

2015,위치기반 소셜 미디어 데이터의 텍스트 마이닝 기반 공간적 클러스터링 분석 연구,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2015-06,공동(교신)

2015,격자기반 분석을 통한 위치기반 소셜 미디어 데이터와 부동산 가격지수 간의 공간적 상관성 분석 연구,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2015-03,공동(교신)

2015,AMOEBA 기법을 활용한 상권 경계 탐지,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2015-06,공동(교신)

2015,Techniques for Updating Pedestrian Network Data Including Facilities and Obstructions Information for Transportation of Vulnerable People,SENSORS,2015-09,공동(교신)

2014,공간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유력지역 탐색기법 연구,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2014-12,공동(교신)

2014,수치지도 건물데이터의 매칭 기반 갱신 및 이력 데이터 생성,한국측량학회지,2014-08,공동참여

2014,M:N object matching between image and map object data sets by means of latent semantic analysis,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2014-10,공동참여

2014,Identification of multi-scale corresponding object-set pairs between two polygon datasets with hierarchical co-clustering,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2014-02,공동참여

2013,SLI와 벡터 지도 간 합성을 위한 대응 건물 객체 탐색에 관한 연구,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2013-06,공동(교신)

2013,위치 검색 지도 서비스를 위한 k관심지역 검색 기법,한국측량학회지,2013-09,공동참여

2013,실시간 타일 지도 서비스를 위한 타일이미지 갱신 향상 기법,한국측량학회지,2013-10,공동참여

2013,이종의 도로망 데이터 셋에서 면 객체 매칭 기반 변화탐지,한국측량학회지,2013-12,공동참여

2013,보행자용 도로망 선형단순화를 위한 도로속성정보 기반 임계값 자동 선정 연구,한국측량학회지,2013-08,공동참여

2013,필지 객체의 형상 정합을 이용한 건물 설계도면의 좌표 등록,한국측량학회지,2013-06,공동참여

2013,수치지형도 일반화를 위한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의 선택 기법 연구,한국측량학회지,2013-06,공동참여

2013,이종의 공간 데이터 셋에서 매칭 객체 판별을 위한 임계값 산출,한국측량학회지,2013-02,공동참여

2013,면 객체 매칭을 위한 판별모델의 성능 평가,한국측량학회지,2013-02,공동참여

2013,대체비용법을 이용한 수치지형도 갱신사업의 편익분석 모형 연구,한국측량학회지,2013-02,공동참여

2013,Line segment confidence region-based string matching method for map conflation,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2013-04,공동참여

2013,New POI Construction with Street-Level Imagery,IEIC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AND SYSTEMS,2013-01,공동(교신)

2012,SLI(Street-level Imagery)와 2D 지도간의 합성을 위한 위치 편차 제거,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2012-06,공동(교신)

2012,임계값 설정에 따른 선형 단순화 알고리듬의 반응 특성 연구,한국측량학회지,2012-08,공동(교신)

2012,수치지도의 도로명주소 체계 연계를 위한 매칭 및 속성 융합 방안 – 도로중심선 레이어를 중심으로-,한국측량학회지,2012-08,공동(교신)

2012,수치지형도를 이용한 항공라이다 데이터의 기하보정,한국측량학회지,2012-06,공동참여

2012,Removal of spatial inconsistency and shape disagreement for conflation of road maps with aerial images,CANADIAN JOURNAL OF REMOTE SENSING,2012-12,공동(교신)

2012,웹 지도서비스를 위한 다축척 지도 데이터셋 자동생성 기법 연구,한국측량학회지,2012-10,공동(교신)

2012,영역분할에 의한 SLI와 벡터 지도 간의 건물영역 일치도 향상,한국측량학회지,2012-08,공동참여

2012,Development of a hashing-based data structure for the fast retrieval of 3D terrestrial laser scanned data,COMPUTERS & GEOSCIENCES,2012-02,공동참여

2012,저니키 모멘트 서술자를 이용한 M:N 면 객체 쌍의 형상 유사도 측정,한국측량학회지,2012-04,공동(교신)

2012,응집 계층 군집화 기법을 이용한 이종 공간정보의 M:N 대응 클래스 군집 쌍 탐색,한국측량학회지,2012-04,공동(교신)

2012,Arc-length parameterization of linear features for photogrammetric tasks,Advanced Science Letters,2012-04,공동(교신)

2012,형상유사도 기반의 면 객체 매칭을 통한 갱신 객체 탐지,한국측량학회지,2012-02,공동(교신)

2011,차량용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이용한 보행 네트워크 및 경로 생성 기법,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2011-09,공동참여

2011,CRITIC 방법을 이용한 형상유사도 기반의 면객체 자동매칭 방법,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2011-04,공동(교신)

2011,수치지형도를 이용한 연속지적도의 지도 일반화 기법 연구,한국공간정보학회지,2011-02,공동(교신)

2011,보행자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위한 랜드마크 추출 방법,한국측량학회지,2011-08,공동(교신)

2011,Hybrid line simplification for cartographic generalization,PATTERN RECOGNITION LETTERS,2011-03,공동(교신)

2011,항공사진과 도로벡터 간의 Alignment를 위한 Vector Median Filter의 적용,한국측량학회지,2011-02,공동(교신)

2011,Autoregistration of High-Resolution Imagery Using LIDAR Intensity Data,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2011-02,공동참여

2011,A New Adaptive Component Substitution-based Satellite Image Fusion by Using Partial Replacement,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2011-01,공동참여

2011,Detecting conjugate-point pairs for map alignment between two polygon datasets,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2011-05,공동(교신)

2010,쿼드트리 기반의 공간분할 기법을 활용한 경로 생성 방안에 관한 연구,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2010-10,공동(교신)

2010,A new method for matching objects in two different geospatial datasets based on the geographic context,COMPUTERS & GEOSCIENCES,2010-09,공동(교신)

2010,An Automatic Registration Method for Adjustment of Relative Elevation Discrepancies between Lidar Data Strips,GISCIENCE & REMOTE SENSING,2010-03,공동(교신)

2010,Proposal for an Inundation Hazard Index of Road Links for Safer Routing Services in Car Navigation Systems,ETRI JOURNAL,2010-06,공동(교신)

2010,Decision Support System for the Selection of Classification Methods for Remote Sensing Imagery,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2010-07,공동(교신)

2009,공간정보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전자지도와 POI 정보의 매칭방법,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2009-12,공동(교신)

2009,지형도와 연속지적도의 가구계 폴리곤 집합간의 N:M 대응쌍 탐색,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2009-09,공동(교신)

2009,준공도면에서추출된 CAD 객체를 이용한 수치지형도의 갱신시스템 개발,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2009-09,공동(교신)

2009,준공도면을 이용한 수치지형도 갱신시스템의 이력 DB 설계,한국GIS학회지,2009-07,공동(교신)

2009,Bundle Block Adjustment with 3D Natural Cubic Splines,SENSORS,2009-12,공동(교신)

2009,기대최대화 알고리즘을 활용한 도로노면 training 자료 자동추출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2009-04,공동참여

2009,건설도면 자료의 수치지도 갱신을 위한 좌표체계 부여에 관한 연구,한국측량학회지,2009-04,공동(교신)

2009,Parallel processing method for airborne laser scanning data using a pc cluster and a virtual grid,SENSORS,2009-04,공동참여

2009,수치지도 작성을 위한 건물 외곽선 단순화 기법 연구,한국측량학회지,2009-02,공동(교신)

2008,무선통신을 활용한 경로 단위 네트워크 데이터 업데이트 기법 제안 및 시뮬레이션,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2008-09,공동(교신)

2008,건설도면의 GIS 데이터 변환을 위한 건물외곽선 단순화 기법 비교 연구,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2008-09,공동(교신)

2008,RPC 모델의 보정을 통한 IKONOS-2 위성영상과 항공레이저 측량 자료의 정합에 관한 연구,대한토목학회 논문집,2008-05,공동(교신)

2008,A proposal for a fire potential indicator and evaluation of its behavior based on MODIS images,ASIAN JOURNAL OF GEOINFORMATICS,2008-07,공동(교신)

2008,Comparison of Methods to Estimate Individual Tree Attributes Using Color Aerial Photographs and LiDAR Data,WSEAS TRANSACTIONS ON SIGNAL PROCESSING,2008-01,공동(교신)

2008,VASM 알고리즘을 이용한 건축물 CAD 자료의 수치지도 건물 객체와의 형상정합 및 지도좌표 부여 방법의 제안,한국측량학회지,2008-08,공동(교신)

2008,Strategies for Introducing Geospatial One-Stop (GOS) to Fulfill Domestic Needs,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cs,2008-03,공동(교신)

2008,건축물 대장을 이용한 수치지도 속성정보의 효율적 갱신방안: 새주소 사업의 건물번호 이용을 중심으로,한국측량학회지,2008-06,공동(교신)

2008,Stereo-mate generation of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using a parallel projection model,CANADIAN JOURNAL OF REMOTE SENSING,2008-04,공동(교신)

2007,3차원 수치영상 지형지도의 제작에 관한 연구,국토연구,2007-03,공동(교신)

2007,MODIS Level 2 Data를 이용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탐지 ,대한토목학회 논문집,2007-07,공동(교신)

2007,BUILDING EXTRACTION AND 3D MODELING FROM AIRBORNE LASER SCANNING DATA ,대한원격탐사학회지,2007-10,공동(교신)

2007,Occlusion restoration of synthetic stereomate for remote sensing imagery,대한원격탐사학회지,2007-10,공동(교신)

2007,우리나라 폭염 종합대책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외국사례 연구,한국방재학회논문집,2007-06,공동(교신)

2007,LiDAR 포인트 cloud로부터 분리된 포인트 군집간 인접관계 인식과 응용에 관한 연구,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2007-03,공동(교신)

2007,국지적 공간상관분석을 이용한 MODIS영상에서의 산불탐지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2007-03,공동(교신)

2007,데이터 캐로절을 이용한 지상파 DMB 지도서비스 구성방안에 관한 연구,한국GIS학회지,2007-04,공동(교신)

2007,Active RFID 가로등을 이용한 이동체 실시간 위치결정기법 연구,대한토목학회 논문집,2007-01,공동(교신)

2007,항공레이저측량 자료를 활용한 IKONOS-2 위성영상의 기하보정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2007-06,공동(교신)

2007,Adjustment of Discrepancies Between LIDAR Data Strips Using Linear Features,IEEE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LETTERS,2007-07,공동(교신)

2007,An Approach for Segmentation of Airborne Laser Point Clouds Utilizing Scan-Line Characteristics,ETRI JOURNAL,2007-10,공동(교신)

2007,RFID를 이용한 이동체의 속도계측기술에 관한 연구,한국측량학회지,2007-06,공동(교신)

2006,Adjustment for Discrepancies between ALS Data Strips using a Contour Tree Algorithm,LNCS,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ACIVS 2006,2006-09,공동참여

2006,컬러항공사진과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수목개체 및 수고 추정,대한원격탐사학회지,2006-12,공동(교신)

2006,분광 유사도 커널을 이용한 하이퍼스펙트럴 영상의 Support Vector machine(SVM) 분류,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2006-12,공동참여

2006,선형기하보정 요소를 이용한 항공레이저측량 자료, 항공사진, 대축척 수치지도의 기하보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2006-12,공동(교신)

2006,다원화된 위성측위체계 환경에서의 국가GIS 연구추진 방안에 대한 고찰,한국GIS학회지,2006-07,공동(교신)

2006,2단계 분광혼합기법 기반의 하이퍼스펙트럴 영상융합 알고리즘 ,대한원격탐사학회지,2006-08,공동참여

2006,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불 모니터링 Web GIS 시스템 설계 및 구축 ,한국GIS학회지,2006-04,공동(교신)

2006,반복최적화 무감독 분광각 분류 기법을 이용한 하이퍼스펙트럴 영상 분류에 관한 연구,대한원격탐사학회지,2006-04,공동참여

2006,Generation of a disparity map using the segment based piecewise linear transformation,WSEAS TRANSACTIONS ON SIGNAL PROCESSING,2006-12,공동(교신)

2006,Extraction and regularization of complex building boundaries from segmented LiDAR,WSEAS TRANSACTIONS ON SIGNAL PROCESSING,2006-12,공동(교신)

2006,A New Contextual Fire Detection Algorithm for MODIS with Threshold Optimization using Fuzzy Clustering,WSEAS TRANSACTIONS ON SIGNAL PROCESSING,2006-05,공동(교신)

2006,An Effective Forest Fire Detection Method Based on Moran Scatterplot Approach,WSEAS TRANSACTIONS ON SIGNAL PROCESSING,2006-04,공동(교신)

2006,3차원 심볼을 활용한3차원 수치지도 제작에 관한 연구,한국측량학회지,2006-12,공동(교신)

2006,LISA 데이터를 이용한 LIDAR 데이터로부터 건물 추출에 관한 연구,한국측량학회지,2006-10,공동(교신)

2006,Efficient extraction of road information f car navigation applications using road pavement markings obtained from aerial images,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2006-10,공동(교신)

2006,Registration of Aerial Imagery and Aerial LiDAR Data Using Centroids of Plane Roof Surfaces as Control Information,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2006-01,공동(교신)

2005,A Study on the Unsupervised Classification of Hyperion and ETM+ Data Using Spectral Angle and Unit Vector,Korean Journal of Geomatics,2005-12,공동(교신)

2005,LiDAR 데이터를 이용한 DEM 자동생성 기법,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2005-12,공동(교신)

2005,항공 레이져 측량 자료의 스캔라인 특성을 활용한 건물 포인트 분리에 관한 연구,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2005-12,공동(교신)

2005,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한 도로 및 차량 추출 기법에 관한 연구,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2005-12,공동(교신)

2005,IKONOS 위성영상의 물리적 센서 모델링,대한토목학회 논문집,2005-11,공동참여

2005,토지피복 변화 탐지를 위한 의사결정방법 도입에 관한 연구,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2005-06,공동(교신)

2005,Evaluation of Graph-based Analysis for Forest Fire Detections,TRANSACTIONS ON ENFORMATIKA SYSTEMS SCIENCES AND ENGINEERING,2005-12,공동(교신)

2004,GIS 사업의 비용편익 분석 모형개발,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2004-03,공동(교신)

2004,도로 노면표지를 이용한 3차원 도로정보 자동추출,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2004-12,공동(교신)

2004,Strategy for application of geospatial one stop(GOS) in Korea,한국GIS학회지,2004-12,공동(교신)

2004,수치지도와 LiDAR 자료를 이용한 도시지역 건물 3차원 모델링에 관한 연구,대한토목학회 논문집,2004-03,공동(교신)

2003,LiDAR 데이터의 점밀도에 따른 지물의 3D 모델링,대한토목학회 논문집,2003-09,공동(교신)

2003,IKONOS 위성영상의 Rational Function Model 계수 직접 추출에 의한 3차원 위치결정,대한토목학회 논문집,2003-01,공동참여

2003,LiDAR 반사강도와 DSM을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에 관한 연구,대한토목학회 논문집,2003-01,공동참여

2003,Effective reduction of horizontal error in laser scanning information by strip-wise least squares adjustments,ETRI Journal,2003-04,공동(교신)

2002,Evidence Theory를 적용한 다중영상 데이터의 토지피복 분류,대한토목학회 논문집,2002-01,공동참여

2002,Potential of reflected intensity of airborne laser scanning systems in roadway features identification,Geomatica,2002-01,공동(제1)

2001,네덜란드의 지리정보체계,측량과 지형정보,2001-09,공동(교신)

2017년, <미래사회보고서> 라는 책을 출판했습니다. 아래에 관련된 내용과 함께 매일경제 1면의 보도 내용을 소개해 드립니다. 

 

간략한 책 소개

미래의 도시를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2030년, 2040년, 2050년.. 당신은 어디에서 무슨 일을 하면서 어떤 환경에서 살아갈 것인가.

저자들은 플랫폼, 인공지성, 가상현실과 같은 강력한 기술들이 미래를 어떻게 바꿀지, 나아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그 답을 제시한다. 각각의 기술에 대한 책들은 넘쳐난다. 그러나 그 모든 요소를 합친 전체적인 모습을 제시하기에는 미흡하다. 그에 반해 이 책은 미래 도시의 종합적인 빅픽처를 마치 한편의 영화처럼 보여주고 있다.

 

▶ 우리 모두는 우주선을 타고 하늘로 치솟는 중이다!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사회발전, 인구증가, 기술혁신 등 측면에서 우리 모두는 우주선을 타고 하늘로 치솟고 있다. 역사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세대가 유독 빠르게 변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번만은 착각이 아닌 듯하다.

 

▶ 가까운 미래에 시민들은 네 개의 계급으로 나뉜다!

미래의 도시에서 시민들은 네 개의 계급으로 나뉜 삶을 살게 된다. 가장 상층부에는 ‘플랫폼 소유주’, 그 아래에는 ‘플랫폼 스타’, 다음으로 법인격을 지닌 ‘인공지성’ 계급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우리와 같은 보통의 시민들은 어떨까. 99.99%의 시민들은 ‘프레카리아트’가 된다. 이것이 당신이 마주할 미래의 모습이다.

 

▶  실재와 가상이 혼합된 이상한 도시에서 살게 된다!

대부분 시민들의 노동은 갈수록 그 값어치가 낮아져 경제적으로 커다란 빈곤 속에 처하게 되고 따라서 도시의 인프라는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하고 낙후된 채로 유지될 것이다.

이와 더불어 가상현실이라는 새로운 기술 혁신이 나타나 현실 도시와 가상 도시가 중첩이 된 채로 존재한다. 시민들은 처음에는 몇 시간을 가상 도시에 머물러 오락이나 노동을 하겠지만 나중에는 며칠 또는 몇 달씩 가상 도시에 살게 될 것이다.

그러한 과정에서 페이스북이나 구글과 같은 IT 공룡기업은 현재의 서비스를 모두 가상화하게 되고 심지어 가상의 행성을 창조할 것이다.

서울공대 3명의 교수진을 중심으로 한 연구팀이 얻어낸 미래 도시 시뮬레이션의 결과이다.

 

책 목차

Part 1. 세 가지 물감으로 그린 미래도시인의 생활

Chapter 1. 다가올 미래를 지배하는 사람들

도시 생태계의 급격한 변화 | 미래도시 생태계의 포식자들은 누구일까 | 저 하늘의 별, 슈퍼스타의 탄생 | 미래도시의 새로운 지배자들 | 우리 대부분은 프레카리아트가 된다 | 제3차 세계대전, 일자리 전쟁

Chapter 2. 미래도시는 어떤 모습일까

가상도시가 출현한다 | 이 도시의 모습을 보라 | 지배 세력들 간의 혼란과 갈등 | 특이하고 다양한 삶의 방식이 탄생한다 | 결론에 대한 결론

Part 2. 인공지성이 만드는 미래의 정보도시

Chapter 3. 정서에 반응하는 환경, 인간의 감정을 다룬다

시스템이 접근한다 | 당신의 감정을 읽는다 | 동조하고 반응하는 매혹 환경 | 감정을 통제하다 | 무너지는 인공과 생명의 경계 | 매매되는 감정 | 냉혹한 먹이사슬

Chapter 4. 시공간의 마스터, 전혀 다른 세상이 등장한다

인간의 시각, 시스템의 시각 | 새롭게 해석되는 세상 | 기묘하게 변해가는 도시 | 무한히 창조되는 공간들 | 새로운 행성의 창조 | 구분할 수 없는 세계에 빠지다 | 당신의 본질을 추적한다

Chapter 5. 주인 없는 결정, 시스템이 판단과 통제를 장악한다

의지를 가진 시스템 | 규칙이 지배력을 통제한다 | 알고리즘으로 포화되는 도시 | 시스템 스스로 선악을 판단 | 누구의 의지인가 | 통계 파라미터 삶 | 복잡계의 충돌 | 힘겨운 자율 투쟁

Chapter 6. 자아의식을 가진 인공지성, 의미전쟁에 사활을 걸다

시스템의 자아의식 | 독자적인 의미의 해석 | 의미전쟁이 일어난다

Part 3. 하드웨어가 만드는 미래도시의 그림

Chapter 7. 어디를 가나 센서가 있다

도시의 모든 것을 감지한다 | 인간과 도시를 숙주로 삼아 | 폭발적인 성장 | 지능을 가진 센서 | 트랜스 휴먼 센서의 시대

Chapter 8.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다

통신 네트워크 백화점 | 가공할 속도로 뻗어 나가는 촉수 | 스스로 연결하는 뉴런 | 정보로 포화된 공간 | 네트워크 전쟁 | 눈덩이처럼 커지는 파워

Chapter 9. 초기억과 초연산 능력이 넘쳐난다

인간의 저장능력을 넘어 | 온 세상의 저장고 | 초연산 능력을 갖추다 | 피비린내 나는 플랫폼 전쟁 | 네오 해적의 시대 | 접속인간

 

2025-08-20 ~ 2026-05-19, AI 기반 공간 데이터 연계 관리 검색 기술개발 기획, 국토교통부

2022-04-01 ~ 2026-12-31, 공간 지식추론 엔진 기술개발 사업, 국토교통부

2017-07-31 ~ 2021-12-31, 사용자 참여형 저비용 실내공간정보 구축 및 갱신 기술, 국토교통부

2011-12-16 ~ 2016-06-29, Realtime Digital Map 생성 및 활용기술 개발, 국토교통부

2014-04-01 ~ 2015-02-28, 교통약자를 위한 VGI 플랫폼 기술 및 앱 개발, 미래창조과학부

2014-08-14 ~ 2018-04-30, 공간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기술 개발, 국토교통부

2015-05-01 ~ 2015-12-31, 인텔리전트 위치기반정보시스템 설계, (주)시터스

2013-06-12 ~ 2013-12-13, 2013년 국가공간정보센터 시스템 고도화 사업, 국토교통부

2011-06-01 ~ 2013-05-31, 초정밀 보행자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코어 시스템 개발, 중소기업청

2012-05-01 ~ 2012-12-14, 2012년 국가공간정보유통시스템 기능고도화 사업, 국토해양부

2011-12-16 ~ 2016-06-29, Hyper-Live Map을 위한 실시간 공간정보 융합 컨텐츠 기술, 국토해양부

2011-04-04 ~ 2011-12-29, 공간정보 비용편익(B/C)분석 연구사업, 국토해양부

2011-12-26 ~ 2012-07-31, 지적재조사 기본계획수립 연구용역, 대한지적공사

2007-09-11 ~ 2009-06-26, 2차원 건설도면을 이용한 GIS DB 갱신기술개발 – 활용 핵심기술 개발, 국토해양부

2010-12-23 ~ 2011-06-22, 차세대 국토해양공간정보 기술 기획, 국토해양부

2010-05-31 ~ 2010-12-20, 국가 공간정보 유통 및 서비스체계 구축 사업, 국토해양부

2009-03-06 ~ 2010-12-26, 경기도 맞춤형부동산 정보 서비스센터 사업관리 및 아키텍처 용역, 경기도

MBC, KBS, SBS, 동아일보, 조선일보, 매일경제, 서울신문, 전자신문 등 주요 매체를 통한 방송, 기고, 뉴스 등이 있습니다. 

[인터뷰] 유기윤 서울대 교수 “공간정보는 스마트시티의 인프라” (https://www.newstheai.com/news/articleView.html?idxno=8801)

‘Geo-AI’ 공공플랫폼 실탑재 착수…지도 위에 AI 띄운다 (https://www.etnews.com/20250803000020)

[人사이트]유기윤 서울대 교수 “고정밀 지도 반출, 산업·세금·안보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https://www.etnews.com/20250711000081)

[인터뷰] 기술이 다시 쓰는 책의 미래 – YouBook과 함께하는 독서의 진화 (https://www.koreait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1236)

서울대 유기윤 교수 AI 미니북 공유 플랫폼 ‘유북’ 개발 (https://www.mt.co.kr/policy/2023/10/11/2023101109324167881)

서울대 공대 건설환경공학부 유기윤 교수 연구팀, 세계 최고 수준의 지식 서비스 기술 개발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942040)

“인공지능 부하로 살지 않으려면”…0.002% ○○○스타가 돼야 [더인플루언서] (https://www.mk.co.kr/news/it/10921157)

서울대 GIS·LBS 연구실, 부동산 공간추론AI 기술 개발 (https://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27580)

AI 시대 우리는 무엇을 하고 살게 될까? 나의 미래 계급은?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161911&plink=ORI&cooper=NAVER)

서울연구원, ‘데이터 마이닝과 도시변화 예측’ 토론회 27일 개최 (https://www.newswork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9596)

유기윤 서울대 교수 팀, 디지털지도 수정기술 개발 (https://www.news1.kr/society/general-society/3165286)

한국품질재단, ‘2018 최고경영자 제주 포럼’ 개최 (https://www.viva100.com/20180628010009223)

서울대 유기윤 교수팀, 자동제세동기 적정위치 모델 개발 (https://www.news1.kr/society/general-society/2912505)

“부정확한 차량용 대신 보행자 전용 네비 개발” (https://www.mt.co.kr/estate/2012/10/08/2012100809542574468)

‘디지털지도 축적변환 자동수행 AI’ 개발한 유기윤 교수-이재은 연구원 (https://www.yna.co.kr/view/PYH20171126057300004?input=1196m)

2020년 발사할 국토관측위성, 남·북경협 사전 포석 의미도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18121014293853840bf3fa6eb9_1/article.html)

책쓰기를 통해 ‘전문성 강화, 커리어 전환, 비즈니스의 기회 창출’ 가능해 (https://www.seoulwir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305)

서울 공대-큐로보, 빅데이터+공간정보 결합 서비스 공동 개발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39230)

서울대 공대 ‘신양공학학술상’에 백진 교수 등 6명 선정 (https://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41127_0013321883&cID=10201&pID=10200)

 

Q) 고향은 어딘가요

A) 경기도 평택시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고등학교 졸업할 때까지 그곳에서 살았습니다. 어릴 때는 정말이지 온갖 장난을 치며 지냈고 못된 짓도 많이 했던 것 같아요. 아직도 많은 친구들이 평택에 살고 있고요, 시간이 날 때마다 찾아가 만나곤 합니다. 

Q) 공무원이 된 이유는

A) 아버님께서 공무원이셨어요. 그래서 저도 자연스럽게 공직에 관심이 생겼나 봅니다. 대학 때 기술고등고시라는 게 있다는 걸 알게 되었고 재미있게 공부한 결과 수석으로 합격했어요. 그런데 생각보다 저의 창의성이나 도전성을 살리기에 쉽지 않은 환경이었어요. 그래서 미국으로 유학을 다녀온 후에 공직을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Q) 서울대학교에는 언제 부임했는지

A) 유학을 마치고 다시 건설교통부에 복귀했습니다. 그 후 2년 뒤 서울대학교에 부임했습니다. 당시에는 서울대학교 교수를 하려면 박사학위를 딴 후 2년이 지나야 했습니다. 2000년에 왔는데 그때 제 나이 35세였습니다. 

Q) 서울대학교에서 주로 연구하는 분야는

A) 저는 도시가 스마트해지도록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특히나 도시의 다양한 정보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데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어요. 예를 들어서, 부동산 정보시스템, 네비게이션 시스템, 공공정보 유통시스템과 같이 도시를 운영하거나 또는 시민들이 편리하게 지내는 데 필요한 공공의 정보시스템 같은 것들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Q) 최근 Geo-spatial AI라는 걸 개발한다던데.. 이는 뭔가요

A) Geo-space 라는 용어는 우리가 사는 3차원 공간을 의미합니다. 여기에 AI 기술을 접목하는 거죠. 쉽게 말하면 챗GPT가 어려워하는 게 바로 디지털 지도입니다. 수십 종류의 서로 다른 주제를 가진 디지털 지도, 더 나아가 3차원으로 재현한 도시 모델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질의와 응답을 할 수 있는 AI를 개발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서, 네이버 부동산이라는 사이트에서 다양한 질문에 AI가 지도를 자유롭게 활용하면서 응답해주는 기술을 개발하는 겁니다. 정부에서 펀드를 지원해 준 덕분에 팀을 꾸려 기술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Q) 얼마전부터는 창업도 했다던데

A) 어머님께서 사업을 하셨어요. 그래서 저도 사업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나 봅니다. 그러고 보니 두 분 부모님의 성향을 골고루 갖고 태어난 듯 합니다. 다른 시각에서 보면 이도 저도 아닌 회색인(?) 같은 거.. ㅎㅎ

Q) 일에 중독되었다는 소문이 있어요

A) 저는 재미가 있으면 계속하는 타입인데요.. 사실 누구나 어느 정도 그렇긴 하죠. 그런데 그 기간이 최소 10년이 되는 주구장장형 사람들이 있어요. 제가 바로 그런 타입이라고 보면 됩니다. 한 번 반하면 10년은 기본으로 하고 넘어갑니다. 저는 좋은 기술을 개발하고 제품을 만들고 하는 일이 즐겁습니다. 

Q) 취미가 있기는 한건가요

A) 주말마다 청계산에 등산을 갑니다. 억수로 비가 오지 않는 한 빠지지 않고 가죠. 20살 때부터 해 온 취미입니다. 아 그러고 보니 아침마다 조깅도 하네요. 이 역시 20살 때부터 지금까지 매일 하고 있습니다. 집에 웨이트 트레이닝 셋트도 있는데 근육이 뻐근해지도록 트레이닝 하고 나면 은근히 쾌감이 생겨요. 이 역시도 20살 때부터.. 그러고 보니 기본 수십 년이네요. ㅎㅎ 

Q) 책도 많이 읽으시는 것 같던데요

A) 이것도 20살 때부터의 취미라고 해야 좋을 것 같습니다. 대학 때 도서관에 가서 종일 책을 읽고는 했어요. 그때는 열람실이 오픈되어 있어서 마음껏 휘젓고 다녔죠. 주제를 가리지 않고 다양하게 읽는 편입니다. 특히 진화심리학, 역사적 인물, 비교 종교학, 행동경제학, 양자물리학, 수학사, 우주론, 뇌과학, 뉴에이지 철학, AI 등등 좋아합니다. 시내에서 일이 있으면 조금 일찍 나가서 교보문고 같은 데 가서 책을 쇼핑하고 다닙니다. 나중에 이 책들 다 버려야 하는데 걱정입니다. 

Q) 책을 쓰기도 하셨죠?

A) 2017년에 미래사회보고서 라는 책을 썼습니다. 당시 매일경제 1면에 책의 내용이 보도가 되었어요. 그래서 그런지 강연 요청이 많았고, 그 덕분에 대중강연 이라는 분야가 재미가 있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책의 내용은 십여 년이 지난 지금에도 여전히 유효한데요, 아마 앞으로의 십여 년도 계속 유효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인공지능과 플랫폼, 가상현실이 도시의 모습과 우리의 생활을 어떻게 바꿀지 예측해 본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