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박용성 교수입니다.
저는 서울대학교 건설환경도시공학부에서 해안 및 하천 유체의 흐름과 파랑-지형-구조물 간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저를 만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저의 디지털 쌍둥이를 통해서 만나는 것입니다. A Con 앱으로 가보시면, 대화창이 나옵니다. 그곳에서 문자나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실제 사람으로서 저를 만나는 것입니다. 이 역시 A Con 앱으로 가시면 화상 대화 메뉴가 나옵니다. 화면을 보면서 저와 대화할 수 있습니다.
디니털 쌍둥이가 뭐냐고요?
실제 사람 전문가를 디지털로 그대로 복제한 것을 말합니다.
그 사람의 신원 정보, 개인적인 취향이나 성격, 전문 지식 등을 깊이있게 학습한 인공지능(AI)이 그 사람을 닮은 모습과 지식으로 당신과 대화를 하는 것입니다.

서울대학교에서 토목공학 학사와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코넬대학교(Cornell University)에서 토목환경공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이후 코넬대학교에서 연구원 및 강사로 근무하며 해안 유체역학의 기초를 다졌고, 영국 던디대학교(University of Dundee)에서 강의와 연구를 병행하며 Royal Society of Edinburgh와 Marie-Curie Actions의 펠로우십을 수행했습니다.
현재는 서울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해안 및 하천 지역에서의 유체 흐름, 파랑, 지형 변화, 그리고 퇴적물 및 오염물질의 이동을 이론적·실험적·수치해석적·머신러닝적 접근을 통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궁금하신 것, 알려주고 싶은 것, 무엇이든 좋으니 저와 대화해 주세요~
연구실 홈페이지 https://sites.google.com/view/celab-snu/home?authuser=0
• Ph.D. in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Cornell University, USA, 2009
• M.S. in Civi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2001
• B.S. in Civi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1999
2019–현재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2016–2019 — 던디대학교 (University of Dundee, UK) — 선임강의전담교수 (Senior Lecturer)
2014–2015 — 로드아일랜드대학교 (University of Rhode Island, USA) — 방문학자 (Visiting Scholar)
2013–2018 — Royal Society of Edinburgh / Scottish Government — Personal Research Fellow (Marie-Curie Actions 공동지원)
2013–2016 — 던디대학교 (University of Dundee, UK) — 강의전담교수 (Lecturer)
2011–2013 — Royal Academy of Engineering (UK) — Newton International Fellow
2009–2011 — 코넬대학교 (Cornell University, USA) — 연구원 및 강의전담 (Research Associate / Lecturer)
학부 (Undergraduate)
• 해안 및 항만공학 (Coastal and Harbor Engineering)
• 공학수학 2 (Engineering Mathematics 2)
• 기초유체역학 및 실험 (Elementary Fluid Mechanics and Lab.)
대학원 (Graduate)
• 해안공학 (Advanced Coastal Engineering)
• 파랑역학 (Water Wave Mechanics)
• Liu, P. L. F., Park, Y. S., & Cowen, E. A. (2007). Boundary layer flow and bed shear stress under a solitary wave. Journal of Fluid Mechanics, 574, 449–463.
• Lynett, P. J., Gately, K., Wilson, R., Montoya, L., Arcas, D., Aytore, B., Bai, Y., … Park, Y. S. (2017). Inter-model analysis of tsunami-induced coastal currents. Ocean Modelling, 114, 14–32.
• Lo, H. Y., Park, Y. S., & Liu, P. L. F. (2013). On the run-up and back-wash processes of single and double solitary waves—An experimental study. Coastal Engineering, 80, 1–14.
• Liu, P. L. F., Park, Y. S., & Lara, J. L. (2007). Long-wave-induced flows in an unsaturated permeable seabed. Journal of Fluid Mechanics, 586, 323–345.
• Noh, H. M., Park, Y. S., Lee, J., & Lee, W. (2015). A cross-sectional study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TSH levels and the osteoporosis of the lumbar spine in healthy women with normal thyroid function. Osteoporosis International, 26 (3), 997–1003.
• Park, Y. S. & Liu, P. L. F. (2010). Oscillatory pipe flows of a yield-stress fluid. Journal of Fluid Mechanics, 658, 211–228.
• Lu, H., Park, Y. S., & Cho, Y. S. (2017). Modelling of long waves generated by bottom-tilting wave maker. Coastal Engineering, 122, 1–9.
• Park, Y. S., Liu, P. L. F., & Clark, S. J. (2008). Viscous flows in a muddy seabed induced by a solitary wave. Journal of Fluid Mechanics, 598, 383–392.
• Seo, I. W., Kim, Y. D., Park, Y. S., & Song, C. G. (2016). Spillway discharges by modification of weir shapes and overflow surroundings.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75 (6), 496.
• Song, C. G., Ku, Y. H., Kim, Y. D., & Park, Y. S. (2018). Stability analysis of riverfront facility on inundated floodplain based on flow characteristic. Journal of Flood Risk Management, 11, S455–S467.
• Kwon, S., Noh, H., Seo, I. W., & Park, Y. S. (2023). Effects of spectral variability due to sediment and bottom characteristics on remote sensing for suspended sediment in shallow river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878, 163125.
• Costa, P. J. M., Park, Y. S., Kim, Y. D., Quintela, M., Mahaney, W. C., Dourado, F., et al. (2017). Imprints in silica grains induced during an open-channel flow experiment.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87 (7), 677–687.
• Park, Y. S., Liu, P. L. F., Chan, I. C. (2012). Contact line dynamics and boundary layer flow during reflection of a solitary wave. Journal of Fluid Mechanics, 707, 307–330.
• Pujara, N., Miller, D., Park, Y. S., & Baldock, T. E., Liu, P. L. F. (2020). The influence of wave acceleration and volume on the swash flow driven by breaking waves of elevation. Coastal Engineering, 158, 103697.
• Park, Y. S., Verschaeve, J., Pedersen, G. K., & Liu, P. L. F. (2014). Boundary-layer flow and bed shear stress under a solitary wave: revision. Journal of Fluid Mechanics, 753, 554–559.
• Noh, H., Park, Y. S., Seo, I. W. (2023). A novel efficient method of estimating suspended‐to‐total sediment load fraction in natural rivers. Water Resources Research, 59 (10), e2022WR034401.
• Kim, B., Noh, H., Park, Y. S., & Lee, M. (2025). Improving accuracy of image-based depth inversion with an adaptive window optimization. Coastal Engineering Journal, 67 (2), 306–318.
• Noh, H., Kim, B., Park, Y. S., & Lee, M. (2025). Enhancing efficiency while maintaining accuracy in repeated coastal drone monitoring through the use of fixed structures as ground control poi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37 (1), 1–14.
• Baek, S., Park, Y. S., & Seo, I. W. (2025). Settling velocity of weakly inertial particles in vertical flow. European Journal of Mechanics – B/Fluids, 109, 92–99.
2024.12 — 서포트 벡터 회귀의 최적 입력변수 및 초매개변수 동시 결정 장치 및 방법 (특허번호 10-2024-0180918)
2024.05 — 드론영상을 이용한 근해의 해저지형 조사 방법 (특허번호 10-2024-0066370)
2023.11 — 연직방향 유동에서 입자의 침강속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수로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 (특허번호 10-2023-0167786)
2023.11 — 드론영상을 이용한 근해의 해저지형 조사 기법 및 장치 (특허번호 10-2023-0165988)
2022.01 — RGB 영상을 이용한 하천의 합류부 전단층 해석 장치 및 방법 (특허번호 10-2022-0010628)
2024.05 – 2024.11 — 금강수계 부유사 발생 특성 조사 연구: 퇴적환경 변화 파악을 위한 본류 및 지천 부유사 모니터링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24.05 – 2024.11 — 금강수계 부유사 발생 특성 조사 연구: 유역 모델을 활용한 유입 지천별 부유사 퇴적 기여율 산정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23.04 – 2023.12 — 해양 CCS 중규모 실증을 위한 해양 환경 평가·감시체계 및 기반기술 개발 — 해양수산부
2022.08 – 2023.08 — 양산천–낙동강 합류구간의 혼합특성 및 취수원 영향 정밀조사·분석 —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
2022.05 – 2022.12 — 드론영상 AI 인지 기술 기반 해수욕장 모니터링 및 진단 기술 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2022.03 – 2023.02 — 해안 유사 내 미세플라스틱의 거동에 관한 실험 및 현장관측 연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 – 2022.12 —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하천 유사량 조사기술 개발 — 환경부
2022 – 2022.12 — 탁수발생 영향분석을 위한 융복합 모니터링 기술 개발 — 환경부
2022 – 2022.12 — 하천조사 및 모니터링 특화 드론 플랫폼 기반 하천관리 기술 개발 — 환경부
2021.02 – 2021.11 — WSUD 기반 도시 물순환 회복방안 연구 용역 (2차년도) — 한국수자원공사
2020.03 – 2020.12 — WSUD 기반 도시 물순환 회복방안 연구 (1차년도) — 한국수자원공사
• 2017년 — Scottish Crucible 2017, Royal Society of Edinburgh / Scottish Funding Council, 영국
• 2016년 — Nomination for a School of Science and Engineering Learning and Teaching Award, University of Dundee, 영국
• 2015년 — Fellowship of the Higher Education Academy (FHEA), 영국
• 2015년 — Exchange Fellowship, Marine Alliance for Science and Technology for Scotland, 영국
• 2013년 — Royal Society of Edinburgh / Scottish Government Personal Research Fellowship (Marie-Curie Actions 공동지원), 영국
• 2011년 — Winner, Young Person’s Paper Competition (YP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Hydro-Environment Engineering and Research (IAHR) UK Section
• 2011년 — Exchange Fellowship, Northern Research Partnership, 영국
• 2011년 — Newton International Fellowship, Royal Academy of Engineering, 영국
• 2009년 — John E. Perry Teaching Assistant Prize, Cornell University, 미국
• 2004년 — Graduate Study Abroad Scholarship, Korea Research Foundation, 대한민국
• 1999년 — Best Alumni Award for Academic Excell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대한민국
2024.06.03 — 공조시스템, 훈련센터 갖춘 재난대응 시스템 필요 — 파이낸셜뉴스
2020.11.30 — 서울대 공대–양양군, 스마트도시 연구 위해 손잡았다 — 매일경제
(샘플)
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