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남경필 교수입니다.
저는 서울대학교 건설환경도시공학부에서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의 거동과 위해성평가, 그리고 생태공학적 복원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저를 만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저의 디지털 쌍둥이를 통해서 만나는 것입니다. A Con 앱으로 가보시면, 대화창이 나옵니다. 그곳에서 문자나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실제 사람으로서 저를 만나는 것입니다. 이 역시 A Con 앱으로 가시면 화상 대화 메뉴가 나옵니다. 화면을 보면서 저와 대화할 수 있습니다.
디니털 쌍둥이가 뭐냐고요?
실제 사람 전문가를 디지털로 그대로 복제한 것을 말합니다.
그 사람의 신원 정보, 개인적인 취향이나 성격, 전문 지식 등을 깊이있게 학습한 인공지능(AI)이 그 사람을 닮은 모습과 지식으로 당신과 대화를 하는 것입니다.

저는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에서 토양 및 지하수 오염, 위해성평가, 그리고 생태공학적 복원기술을 연구하고 있는 남경필입니다.
서울대학교에서 동물자원학을 전공하고, 유전공학 협동과정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환경독성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박사 과정에서는 “유기물과 나노기공이 토양 내 페난트렌의 생물학적 이용성과 격리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연구했습니다.
귀국 후 서울대학교에 부임한 이래, 저는 지난 20여 년간 토양과 지하수 환경에서의 오염물질 거동, 중금속 및 유기오염물질의 생물학적 안정화, 위해성 기반의 정화기술 개발에 매진해 왔습니다.
특히 환경부 GAIA Project 연구단장으로서 국가 토양·지하수 오염관리 기술의 체계적 발전을 주도하였고, 환경정화기술 및 위해성평가연구센터를 설립하여 학문과 실무를 잇는 연구 생태계를 구축하였습니다.
현재는 철산화물의 재합성 반응을 활용한 오염토양 정화기술, Redox 반응 기반 중금속 제거 기작, 그리고 생물학적 위해성평가를 통한 토양 복원 전략 개발을 중심으로 연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토양환경생태공학’과 ‘토양오염 및 위해성평가’ 등의 강의를 통해 학생들에게 과학적 이해와 실무적 감각을 함께 교육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홈페이지: https://sql.snu.ac.kr/
- Ph.D. in Environmental Toxicology (Soil Contamination Major)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USA, 1998
논문: Role of organic matter and nanopores in the bioavailability and sequestration of phenanthrene in soil and model solids - M.S. in Animal Science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Genetic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992
논문: Listeria monocytogenes의 한국 원유에서의 분포 및 그 plasmid 특성에 관한 연구 - B.S. in Animal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990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교수 / 부교수 / 조교수, 건설환경공학부 (2003.03 – 현재)
학부장, 건설환경공학부 (2021.06 – 2023.08)
단장, 서울대학교 InfraSPHERE 교육연구단 (2021.09 – 현재)
센터장, 환경정화기술 및 위해성평가연구센터 (2011.04 – 현재)
연구부학장, 공과대학 (2015.09 – 2019.08)
센터장, 서울대학교 공학컨설팅센터 (2015.09 – 2019.08)
외부 기관 및 정부 연구단
전문교수, ㈜포스코 (2015.01 – 2018.12)
연구단장, 환경부 GAIA Project 연구단 (2011.04 – 2016.04)
전임강사,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BK21사업단 (2000.05 – 2003.02)
학술 및 자문활동 관련
한국공학한림원 일반회원 (2022–현재)
한국환경한림원 정회원 (2020–현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회장 (2021–2022)
국회물포럼 미래혁신위원회 위원장 (2020–2022)
대한토목학회 평의원 (2022–2023)
환경부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2022–2024)
K-water 물환경정책자문단 자문위원 (2021–2023)
국방부 주한미군기지이전사업단 자문위원 (2021–2024)
토양환경생태공학 (Soil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Engineering)
환경공학실험 및 설계 (Environmental Engineering Laboratory and Design)
대학원
토양오염 및 위해성평가 (Soil Contamination and Risk Assessment)
환경생명공학 및 실험 (Environmental Biotechnology and Laboratory)
토양위해성평가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남경필, 류혜림) — 동화기술 — 2008
생태공학 – 생태학과 건설공학의 가교 — 우효섭, 남경필 — 청문각 — 2008
Bioavailability of Organohalides. In M.M. Häggblom, I.D. Bossert (Eds.), Dehalogenation: Microbial Processes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s — Nam, K. and J.J. Kukor — Kluwer Academic Publishers — 2003
국내특허
남경필, 박진희, 비결정질 철산화물과 비소의 공침을 이용한 비소오염토양의 in situ 안정화 및 생물학적 접근성 저감 방법, 등록번호: 10-2086955, 2020.03.03
남경필, 정부윤, 안진성, 토양의 중금속 이온의 생태독성학적 환경허용농도를 결정하는 방법, 출원번호: 10-2019-0166871, 2019.12.13
남경필, 정현용, 김상현, 미생물매개 탄산칼슘 침전을 이용한 토양 유실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토양 유실 방지 방법, 등록번호: 10-1949655, 2019.02.12
남경필, 정현용, 김상현,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비소 안정화 방법, 등록번호: 10-1949652, 2019.02.12
남경필, 김상현, 정현용, 철강슬래그의 처리방법, 등록번호: 10-1881448, 2018.07.18
남경필, 조은혜, 정현용, 크롬 농도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롬 농도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등록번호: 10-1656996, 2016.08.31
남경필, 조은혜, 주원정, 광미 활용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기생산방법, 등록번호: 10-1654976, 2016.08.31
남경필, 정재웅, 이광헌, 임상순, 사격장 내 화약류 및 중금속 이동성 저감을 통한 오염토양 처리방법, 등록번호: 10-1334836, 2013.11.25
남경필, 김영진, 안진성, 정슬기, 독성 저감원소 분석을 이용한 토양의 오염도 측정방법, 등록번호: 10-0991597, 2010.10.27
남경필, 최용주, 박주영, 미세기포 부유액을 이용한 오염 지반의 정화 방법 및 그 미세기포 부유액, 등록번호: 10-0974143, 2010.07.29
해외특허
Kyoungphile Nam, Doyeon Shin, Novel Self-Dying Recombinant Microorganism for Measuring Soil and Water Contamination,
United States Patent 8,557,559 B2, 2013.10.15Kyoungphile Nam, Jerome J. Kukor, Remediation of Contaminates Including Low Bioavailability Hydrocarbons,
United States Patent 6,746,180 B2, 2004.06.08Kyoungphile Nam, Jerome J. Kukor, Remediation of Contaminates Including Low Bioavailability Hydrocarbons,
United States Patent 6,623,211 B2, 2003.09.23남경필, 정현용, 김상현, 미생물매개 탄산칼슘 침전을 이용한 토양 유실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토양 유실 방지 방법,
베트남 출원번호: 1-2019-04859, 2019.09.04남경필, 이승묵 외, 위해도 결정 방법 및 장치, 미국 출원번호: 17/060,146, 2020.10.01
원위치 철산화물 반복합성법을 이용한 시설 하부 중금속 오염토양 안정화기술 적용성 연구,
2023.04.01 – 2024.12.31, 환경부 (지중환경 오염위해관리기술개발사업(R&D)) — 연구책임자대수층 Clay mineral 함유 철 이온의 원자가 변화를 이용한 Redox-Sensitive 중금속 제거기작 규명 및 원위치 지하수 정화 기술 개발,
2022.09.01 – 2025.02.2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견연구) — 연구책임자소화슬러지의 Anaerobic Open Culture(AOC) shaping을 통한 고순도 헥사노익산 생산 및 잔여 탄소원 회수 플랫폼 개발,
2019.09.01 – 2022.02.28, 한국환경공단 (중견연구자 지원사업) — 연구책임자오염부지 위해관리기술 및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2018.06.01 – 2020.12.31, 환경부 (GAIA Project) — 연구책임자고압세척공정 기반의 초미세기포 복합 공정과 선택적 핵종 흡착기술을 이용한 해체원전 오염토양 제염기술 개발,
2018.05.01 – 2021.04.30,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연구책임자토양오염부지 위해성평가 시범사업 및 선진화 방안 연구 (Ⅰ–Ⅳ),
2015.05 – 2018.12,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 연구책임자자연기원 음이온 오염물질의 원위치 위해농도 예측을 위한 Biotic Ligand Model 개발,
2016.06 – 2019.05,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연구책임자제강슬래그를 활용한 오염 중금속 안정화/고형화 기술개발 및 통합환경안정성평가 기법 확립,
2015.10 – 2016.10, 포스코 — 연구책임자복합오염 준설토 생물학적 정화공정 및 정화토의 환경위해성 평가,
2015.04 – 2017.03, 현대건설㈜ — 연구책임자슬래그볼의 재활용 환경안정성 및 인체위해성평가 기술 개발,
2015.03 – 2016.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연구책임자위해도 기반 사격장 오염부지 평가 및 관리기술 개발,
2011.04 – 2016.03, 환경부 (토양·지하수오염방지기술개발사업) — 연구책임자광미의 재이용을 통한 전기 생산 및 산성광산배수 발생 예방 자립형 자원순환기술 개발,
2014.05 – 2017.04,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지원사업) — 연구책임자중금속 오염형태에 따른 세척제 평가 및 선정기술 개발,
2013.10 – 2014.07, 대한토목학회 — 연구책임자오염토양의 환경친화적 정화수준 결정 기법 연구,
2003.07 – 2012.02, 한국과학재단 (ERC 우수연구센터 지원사업) — 공동연구원
정부 포상 및 기관 표창
대한민국 근정포장, 제134689호, 2023.03
환경부 장관 표창, 제34299호, 2016.12
환경부 장관 표창, 제26895호, 2012.06
국토해양부 장관 표창, 제9467호, 2010.03
대한토목학회장 표창장, 대한토목학회, 2008.12
서울대학교 및 연구기관 수상
우수업적교수상,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2014.02
신양공학학술상,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2013.12
우수연구상,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2010.03
학술단체 및 학회 수상
학술상, 한국물환경학회, 2020.11
환경기술 우수상,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4.06
제18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KOFST), 2008.07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우수논문상, 2007.10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우수논문상, 2003, 2005
2023.03.22 — 한덕수 총리, 남경필 교수에게 근정 포장 수여 — 뉴시스
2018.03.01 — 환경부 ‘토양세척법’ 공청회 임박…부영 등 기업들 ‘촉각’ — 이뉴스투데이
2017.06.01 — 원자력 전문가들 “문정부 탈원전, 전문가 배제한 졸속행정” — 세계일보
2017.06.01 — “에너지 정책, 전문가 논의와 국민 의견 수렴 거쳐야” — 투데이에너지
(샘플)
Q)